하마뉴스 ; 정치하는엄마들 NEWS
183 subscribers
3.37K photos
43 videos
33 files
4.17K links
Download Telegram
[소식 | 모두를 위한 평등]

/차별 받지 않는 안전과 생명
/일하다 죽지 않을 권리
/그 어디든 잘 다녀왔다고 인사 나눌 수 있는 안전한 사회
/함께 서로가 서로를 지켜 나가요

지난 11일 정치하는엄마들은 산재피해가족네트워크 《다시는》 전시회에 다녀왔습니다. 고 김용균님의 어머니 김미숙님의 안내로 사랑하는 사람을 일터에서 잃은 가족들이 서로 마음을 나누고 돌봐온 연대의 기록들을 마음 깊이 담을 수 있어 감사했습니다. 전시는 이번주 일요일까지 열려 있습니다.

일시 : 2022.11.04(금) ~ 11.13(일)
장소 : 성분도은혜의뜰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한강대로104길 45-3)

오픈 : 오전11시 ~ 오후8시 (13일만 오후 6시 마감)

주최 : 산재피해가족네트워크'다시는'
후원 : 인권재단 사람

✦•✦•✦

"오늘도 6명이 돌아오지 못했다"

대한민국은 산업재해로 하루 5~6명이 목숨을 잃는 나라입니다. 사고 뉴스를 접할 때마다 우리는 슬퍼하고 분노하지만 이내 각자의 일상에 쫓겨 잊어버리곤 합니다. 일터의 환경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조건에서 누구나 언제든 산재 피해자가 될 수 있는데도, 우리는 왜 산재를 자신의 일로 생각하지 못할까요? 


전시 ‘다시는’은 급작스런 산재사고로 일상이 부서지고 사랑하는 사람이 이미 없는 세상을 살아내는 마음의 풍경을, 산재 피해가 없는 세상을 위해 싸우는 오늘을 담습니다.

이 풍경과 오늘을 경유하며 숫자로만 접했던 '심각한 사회 문제'가 사실은 우리의 문제, 나의 일이라는 것을, 숫자 뒤에 가려져 있던 ‘사람들’을 만나 이들 역시 나와 같음을 느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나아가 ‘다시는 일하다 죽지 않게’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면 더욱 좋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http://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97

#다시는 #산재피해가족네트워크 #태안화력발전소비정규직노동자 #김용균 #김미숙 #이한빛 #이용관 #김혜영 #이한솔 #황유미 #황상기 #이민호 #이상영 #박정숙 #김동균 #김용만 #김동준 #강석경 #홍수연 #홍순성 #이문수 #이종민 #김태규 #김도현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모두를위한평등
[간담회] 학교 화학안전을 위한 ECO교실 간담회

환경부 제3회 화학안전주간

초등학교 교육환경 화학안전 현황 및 개선 사례를 공유하고 '더 안전한 학교용품' 생산 및 사용 확대를 위한 민간협의체 구성을 제안합니다. 간담회 패널로 김숙영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함께 합니다.

□ 일시 및 장소 : 2022년 11월 15일(화) 16:30 ~ 18:00, 양재L타워 7층 그랜드홀

□ 주요내용 :
- 초등학교 교육환경 화학안전 현황 및 개선 사례 공유
- ‘더 안전한 학교용품’ 생산 및 사용 확대를 위한 민간협의체 구성 제안

□ 참여대상 : 학교용품 제조업체, 교육청, 초등학교 관계자, 전문가, 시민사회 등  

□ 프로그램 주관 : 아름다운재단, (사)일과건강

□ 주최 : 환경부

□ 프로그램

인사말|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발제1 학생도 교사도 행복한 ECO-교실 만들기| 신선영 아름다운재단 간사

발제2 초등학교 교육환경 화학안전 현황과 개선 사례|최인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팀장

패널토크 | 더 안전한 학교용품의 생산 및 사용 확대 방안
좌장 | 배성호 유자학교 기획단장
○ 김한민 서울정릉초등학교 교사
김숙영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 더 안전한 학교용품 제조업체
- 이연승 (주)페트라기업 본부장
- 백대신 ㈜베스트포유 대표이사
○ 방혜원 환경산업기술원 녹색전환지원실 실장
○ 김신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부소장
○ 송민경 한국자원경제연구소 대표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14

#화학안전 #초등학교 #ECO교실 #환경부 #화학안전주간 #민간협의체구성제안 #더안전한학교용품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지구하마 #김숙영활동가
노조법 2·3조 개정으로 진짜 노동권 회복하자

[매일노동뉴스/ 기고 류하경 변호사]

지난 여름 0.3평도 안 되는 철창에 스스로를 가두고 투쟁했던 대우조선 하청노동자 유최안씨는 왜 그렇게까지 했을까. 연세대 청소노동자들이 왜 빗자루를 내려놓고 본관 앞에서 연좌하고 총장이 나오라고 외쳤을까. 수많은 간접고용 즉 하청노동자들이 왜 하청업체가 아닌 원청 사장에게 대화를 요구하는 것일까. 실질적인 근로조건을 결정하는 자가 원청이기 때문이다. 원청이 교섭에 응하지 않으면 힘없고 돈 없는 하청 사장이 노동자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은 없다.
...
사용자 재산권을 보장하는 범위는 넓지만 이로 인해 원천 박탈되는 노동자의 노동 3권은 노조법 3조에서조차 제대로 보호하지 못한다. 현행 노조법 2조는 ‘쟁의행위’에 대해 “파업·태업·직장폐쇄 기타 노동관계 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행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행위”라고 정의한다. 즉 쟁의행위는 원래 사업주에게 손해를 끼칠 수 있는 행위다. 따라서 폭력이나 파괴로 인한 직접 손해를 제외하고는 쟁의행위에 대한 손배소를 제한하는 내용으로 노조법 3조를 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전문 보기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951&fbclid=IwAR2d3rPumQ-oHZ0lDFGHXValozQoCzCLQ_x_znPJN019_L-MpmfEDMMWQWo

#노조법2_3조개정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노동권회복 #특수고용 #간접고용 #플랫폼 #노동자 #국민동의청원 #국회의시간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류하경언니
대통령 집무실 찾은 스님들…'오체투지' 행렬 이어갔다

[프레시안 | 기자 한예섭]

이태원 참사 추모 및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오체투지' 행진에 나선 스님들이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을 찾았다.

대통령 집무실 앞에 선 조계종 노사위원장 지몽 스님은 "몸이 많이 무겁지만 몸보다 마음이 천배 만배 무겁다"라며 "희생자 가족 분들의 슬픔과 고통이 조금이라도 녹아내리길 바라는 마음으로, 더불어 참사의 진상이 명백히 규명돼 책임자들이 응당의 대가를 받길 바라는 마음으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고 소희를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참사 피해 가족 분들을 한 자리에 모일 수 있게 (유가족) 공간을 마련하는 일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라며 "진상조사 과정에 유가족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서라도 당장 유가족들을 위한 공간을 마련해 주시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행진엔 우다야 라이 전국 이주노동자노동조합 위원장, 도서 <저주토끼>의 정보라 작가(한국비정규노조), 시민단체 정치하는엄마들의 활동가들 등 각계 시민사회 활동가들도 참여해 함께 거리에 몸을 뉘었다.

🟣전문 보기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2111114223288607

#이태원참사 #희생자추모 #진상규명촉구 #희생자가족공간마련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오체투지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모두를위한평등 #권은숙활동가 #장하얀활동가 #PoliticalMamas
[북토크] 엄마들의 책장 X 장슬기 작가 《그런 말은 전혀 괜찮지 않습니다》

🔶🟠💠🔵

❝이 정도 표현이면 괜찮지 않나요?❞
❝아니요. 전-혀- 괜찮지 않습니다.❞

정치하는엄마들 독서 소모임 '엄마들의 책장' 11월 모임에서는 혐오와 차별을 넘어서는 우리말 사용법 《그런 말은 전혀 괜찮지 않습니다》 저자 장슬기님과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책을 읽으며 궁금했거나 나누고 싶은 마음들이 있다면 신청링크를 통해 남겨주세요. 장슬기 작가님과 북토크에서 나눠보아요.

✦일시 : 2022년 11월 20일(일) 10:00-12:00

✦장소 : 서울여성플라자 아트컬리지4 (서울시 동작구 여의대방로54길 18, 전철 1호선 대방역)

✦참가비 : 무료

✦신청링크 : http://bit.ly/그런말

엄마들의 책장 북토크는 정치하는엄마들 회원이 아닌 분들에게도 열려 있으니 망설이지 말고 편하게 만나요.

어린이와 함께 오시는 분들은 나이를 알려주시면 알맞은 놀잇감을 준비할게요.

모임에 함께하길 원하는 분은 신청링크를 작성해주시면, 모임 전 안내 문자를 드립니다.

주최| 정치하는엄마들
문의| 사무국 010-2540-0420 [email protected]

✦든든하다 정치하마 일시후원계좌
|농협 301-0216-7747-01 정치하는엄마들

🟣자세히 보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2600
___
🌫10.29 이태원 참사로 인해 생명을 잃은 분들을 애도하며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분들에게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 고통과 공포 속에서 살아남은 분들이 속히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참사 현장에서 곁을 외면하지 않고 기꺼이 손 내밀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힘겨운 가운데 서로를 돌보고 지키기 위해 애쓰시는 분들 모두 몸과 마음 잘 보살피시길 바랍니다.

#북토크 #그런말은전혀괜찮지않습니다 #장슬기 #아를출판사 #혐오와차별을넘어서는우리말사용법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엄마들의책장
[소식] 2022 충남여성풀뿌리자치학교 온라인 교육 ZOOM 신청 (~11월 15일까지)

누구라도 차별받지 않는 세상, 건강하고 합리적인 공동체, 민주시민으로써 나의 권리와 책임, 충남여성풀뿌리자치학교에서 성평등 가치를 함께 나눌 분들을 기다립니다.

●일정: 2022. 11. 22~12. 1 매주 화/수/목 18:00~21:00

●대상: 성평등한 공동체 조성에 관심 있는 충남도민 누구나

●신청방법: 11월 15일까지 홈페이지 신청
https://www.cwpdi.re.kr/108

●교육문의: [email protected]

*수료자는 충남여성가족연구원 각종 공모사업 신청 시 가산점 부여

●교육일정

11/22(화) 감수성을 갖는다는 것 |황금명륜 (젠더교육플램폼효재 원장)

11/23(수) 페미니즘? 페미니즘! |박선의 (민주시민네트워크 대표)

11/24(목) 미디어 리터러시 |김지학 (한국다양성연구소 소장)

11/29(화) 지속가능한 미래와 젠더 |박이은실 (아주작은페미니즘학교 '탱자' 전담교수)

11/30(수) 여성이 사회를 바꾼다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

12/1(목) 성평등한 공동체 만들기 |서정민 (지역순환경제센터 센터장)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02

#충남여성풀뿌리자치학교 #성평등 #공동체 #온라인교육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장하나활동가
[연대|2022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 집회와 행진]

❝우리 모두의 안전한 일상을 위하여❞

정치하는엄마들 함께 합니다. 모여서 추모하고, 기억하고, 행진하려 합니다.

11월 20일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에서, 함께 만납시다. 그리고 행진합시다.

▪️ 일시 : 11월 20일 (일) 15:00
▪️ 장소 : 녹사평역 3번출구 인근 이태원 광장
▪️ 행진 : 대통령 집무실 방향 행진

▪️ 준비물 : 추모를 위한 꽃 혹은 메시지
드레스 코드 : 블랙 & 트랜스 프라이드 컬러

▪️ 함께하는 단위 :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 만드는 법,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성소수자부모모임, 언니네트워크, 전국금속노동조합, 정치하는엄마들, 트랜스해방전선,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후원 계좌 : 국민 823701-04-318202 트랜스해방전선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09

#트렌스젠더_추모의날 #우리_모두의_안전한_일상을_위하여 #추모 #기억 #행진 #공익인권변호사모임_희망을_만드는_법 #대한불교조계종_사회노동위원회 #반성매매인권행동_이룸 #성소수자부모모임 #언니네트워크 #전국금속노동조합 #트랜스해방전선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모두를위한평등
[연대 |공동성명]

이태원 참사 피해자 명단 공개에 대한 인권단체 입장

한 언론이 이태원참사 희생자들의 이름을 공개했습니다. 인권단체들은 이에 깊은 우려를 전하며 애도와 기억에 관한 우리의 고민을 나누고 싶습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 이름들을 보면서 누구도 떠올리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누군가는 그 이름을 보면서 지금 세상에 없는 이의 자리를 원치 않는 방식으로 마주해야 했을 것입니다. 해당 언론과 이를 유포하는 모든 분들에게 멈춰주시길 요청드립니다.

숫자만으로 애도가 완성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름만 아는 것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숫자도 이름도 애도를 위한 필수조건이 아닙니다. 이태원참사를 마주하며 함께 애도하고 서로 위로하고 싶은 많은 분들의 마음이 소중한때입니다. 책임 부인과 회피로 일관하는 정부의 모습, 서둘러 사건을 종결하려는 듯한 특수본 수사에 대한 우려로 더욱 그러합니다.

우리가 정말 함께 기억하기를 바란다면, 희생자들을 먼저 알았던 이들이 자신이 기억하는 희생자의 이야기를 꺼낼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지금 곁에 없음을 직면하는 것으로도 힘겨운 시간을 헤아리는 것이 우선입니다.

이태원참사의 피해자에는 희생자의 가족이거나 친구였던 생존자들도 있습니다. 직접적인 관계가 없더라도 그 시간들을 어떻게 기억해야 할지 아직 혼란스러운 수많은 이들이 있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우리의 애도와 기억이 더욱 긴 시간을 약속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피해자의 이야기를 함께 기억하고 싶다면 그 이야기를 듣기 위한 조건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행동이어야 합니다. 그것은 누구인지 알 수도 없는 이름을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누구이든 타인에게 일방적으로 공개당할 수 없는 존엄한 인간이었음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할 것입니다.

진실과 정의, 회복을 위한 우리의 행동이 같은 출발선에서 시작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2년 11월 16일

광주인권지기 활짝, 노동당 문화예술위원회, 다산인권센터,다양성을 향한 지속가능한 움직임: 다움,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무지개인권연대, 문화민주주의실천연대, 문화연대, (사)신나는센터, 서울인권영화제, 성공회 용산나눔의집, 성소수자부모모임,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SHARE, 성적소수문화인권연대 연분홍치마, 언니네트워크, 인권과평화를위한국제민주연대, 인권교육온다, 인권아카이브, 인권운동공간 활,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인권운동사랑방,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장애여성공감, 정치하는엄마들, 제주평화인권연구소왓, 진보네트워크센터,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천주교인권위원회,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충남차별금지법제정연대, 트랜스젠더 인권단체 조각보, 플랫폼C,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청소년청년감염인커뮤니티알,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총 36개 단체)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22
❛전쟁없는세상다움❜에 대하여

[여성활동가 인터뷰집 리뷰 | 장하나 활동가]

강정에서 ‘생각하고 말한 대로 행동하는 활동가’들을 여럿 만난 건 엄청난 행운이다. 그들을 상기하며, 적어도 나 자신에 대한 기대는 잃지 않게 되었으니까 말이다. 10년 전에 강정에서 만난 전쟁없는세상 활동가들도 내가 닮고 싶은 사람들 중 하나다. 10년이 지난 지금 그들의 인터뷰를 읽으며, 전쟁없는세상의 활동가들이 걸어온 길과 그들이 품어 온 고민을 엿보며, 그들을 닮고자 했던 나의 직관이 옳았음을 확인한다.


평화운동이 페미니즘운동이라는 말은 누구든지 할 수 있지만, 그런 신념을 토대로 ‘행동’하고 같은 원칙으로 조직을 운영하는 단체/활동가들은 얼마나 희귀한가. 그래서 나는 ‘배제된 여성’이라는 규정 대신 ‘실천적인’ 활동가들의 인터뷰 선집으로 이 책을 소개하고 싶다. 그것이 전쟁없는세상의 고유성과 희소성을 더 명확하게 짚어내는 설명이라고 생각한다. (배제된) 여성· (반)군사주의· 평화운동· 병역거부운동 등의 키워드 대신 ‘실천적이고 자기반성적인 사회운동단체의 인터뷰집’이라는 표제로 나의 동료들은 물론, 분야를 막론하고 동시대의 모든 활동가에게 이 인터뷰집을 권하고 싶다.

🟣전문 보기
http://www.withoutwar.org/?p=19556

#전쟁없는세상 #여성활동가인터뷰집 #실천 #행동 #자기반성 #사회운동 #모두가엄마다 #무기안녕 #정치하는엄마들 #장하나활동가
🌈[소식 | 모두를 위한 평등]

성소수자에게도 '잘 아플 권리'가 중요하다

사회복지서비스를 활용하여 차별받지 않고 치료받는 방법에 대해 의료사회복지사가 알려드립니다.

이런 것을 이야기 해요🙋🏻‍♀️

아픈 몸과 마음을 대하는 방법, 의료진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방법, 치료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제도와 사회복지서비스를 소개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성소수자의 나이듦을 준비하는 연속강좌 5강]
의료기관에서 사회복지 서비스를 활용하여 차별없이 치료받는 방법

✦강사 : 이해령(고려대안암병원 의료사회복지사)

✦일시 : 2022년 11월 22일(화) 19:30
✦장소 : 온라인(zoom, 참가자 별도 안내)
✦참가비 : 무료
✦주최 :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신청링크 : bit.ly/2022herenow5

#의료기관 #사회복지서비스활용 #차별없이치료받기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모두를위한평등 #이해령언니

🟣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23
성소수자·성평등 빠진 교육과정 개정안… “감추면 혐오 커져”

[여성신문 | 기자 김민주]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가 11월 9일 발표한 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안에 성소수자·성평등 표현이 빠져 논란이 일고 있다.

고등학교 통합사회 과목 속 ‘성소수자’는 ‘성별, 연령, 인종, 국적, 장애 등으로 차별받는 소수자’로 바뀌었다. 장홍재 교육부 학교교육지원관은 8일 출입기자단 사전 설명회에서 “성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인 청소년기에 교육과정 안에 성소수자가 사회적 소수자의 구체적 예시로 들어갔을 때 발생할 여러 가지 청소년들의 정체성 혼란을 깊게 우려했다”고 설명했다.

‘성평등’ 표현은 연구진 의견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사라졌다. 이는 도덕 과목에서 ‘성에 대한 편견’이라는 표현으로 대체됐다.

장하나 정치하는 엄마들 활동가는 학내 피해자 발생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가장 우려되는 건 최근 젠더 갈등이 심화된 측면이 있는데, 이번 조치가 학생사회에서 건강한 토론을 위협할까 우려스럽다. 폭력적인 사람들한테 힘을 실어주는 부분이 될까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젠더 문제, 성소수자 문제 모두 엄연히 존재하는 사회적 문제들이다. 교과과정에서 지우는 것은 아동, 청소년을 무시하고, 2등 시민쯤으로 여기는 처사”라고 덧붙였다.

🟣전문 보기

https://www.womennews.co.kr/news/curationView.html?idxno=229793

#성평등 #성소수자 #혐오차별 #2022초중등교육과정개정안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모두를위한평등 #장하나활동가
[연대 | 지역난방이용시민] 한국지역난방공사 열배관 안전점검 축소에 대한 공개질의 기자회견

지난 11월 16일 지역난방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경기도 고양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여러 지역난방 열수송관 안전점검 축소에 대한 정용기 지역난방공사 사장 내정자의 입장을 물었습니다. 시민들은 18일까지 질의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습니다.

❝우리 말밑은 안전합니까❞
지역난방 열수송관 안전점검 축소
정용기 지역난방공사 사장 내정자의 입장을 묻습니다


우리 시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일상의 안전 입니다. 우리가 사는 사회가 안전하다는 믿음. 아이들을 안심하고 학교에 보내고, 사고를 두려워하지 않고 대중교통을 타고, 탈날 걱정없이 음식을 먹고, 아프면 손쉽게 병원에 갈 수 있고. 통신‧전기‧가스를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다는 믿음. 이것이 무너지면, 시민은 삶이 무너집니다.

최근 국정감사에서 문제가 되며 알았습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열수송관 전체 2500km 중 20년 이상 된 길이가 아직도 900km가 넘는다는 것을. 백석역 참사를 겪고 지금까지 교체된 노후배관은 54km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그리고 더 충격적인 것은, 이런 상황에서 늘려도 모자랄 열배관 안전점검 인력을 20%나 축소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지하철역에서, 우리는 최근에도 막을수 있는 죽음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강화해도 모자를 이 시국에 왜 지역난방공사는 안전점검 인력을 줄인 것입니까. 지금 우리가 서있는 발밑은 안전합니까?

🟣공개질의서 전문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26

#안전한지역난방 #안전한사회 #한국지역난방공사 #열수송관안전점검축소 #정용기사장내정자는답하십시오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경기회원모임
[연대|담장넘어 X 정치하는엄마들]

일상 속 성평등 라운드테이블 <담장넘어>

일상 속 성평등 실현을 위해 지역에서 함께 고민하는 자리에 권은숙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도 함께 합니다.

▪️ 일시 : 2022년 11월 18일(금) 16:00 ~ 18:00

▪️ 장소 : 복사골문화센터(경기 부천시 장말로 107) 2층 갤러리

▫️ 발표1. 담장넘어 활동 보고(1) - 권은숙(정치하는엄마들 / 담장넘어 네트워크) 🙋🏻‍♀️

▫️ 발표2. 담장넘어 활동 보고(2) - 신가영(까치밥 / 담장넘어 네트워크)

▫️ 발표3. 성평등한 학교로 - 최윤(부천청소년인권공동체 세움)

▫️ 발표4. 성교육은 어른이 먼저 - 이태경(부천중앙초등학교 양육자 성교육동아리 '상상이성')

*발표 후 현장토론이 이어집니다.

#일상속성평등 #담장넘어 #부천시청소년성문화센터 #까치밥 #부천새시대여성회 #부천여성노동자회 #부천여성청소년재단 #부천청소년인권공동체세움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모두를위한평등 #권은숙활동가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21
[연대 |성명] 돌봄 공공성 확보와 돌봄권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

❝국회는 돌봄의 국가책임 위해 돌봄예산 확대하라❞

‘약자복지’ 무색하게 턱없이 부족한 돌봄 인프라 확충 예산
정부 자연증가분으로 자화자찬, 국회가 바로잡아야

2023년 예산안이 국회 심의 중에 있습니다. 코로나19 감염병 사태를 겪으며 시민들은 돌봄, 소득, 고용의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는 보육, 아동·청소년, 노인 돌봄 분야의 공공인프라 확충 예산을 대거 삭감하고 일부 현금 급여 예산만 확대 편성해 돌봄의 국가책임을 저버렸습니다.

돌봄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는 가속화하는 저출생 고령화 사회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돌봄 공공성 확보와 돌봄권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는 국회에 윤석열 정부의 각자도생 돌봄 예산을 반드시 바로잡고 돌봄 예산을 확대할 것을 촉구합니다.

🟣성명서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28

#돌봄예산 #복지예산 #확대하라 #돌봄공공성확보 #돌봄권실현 #돌봄공공연대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탈석탄행동 국회 앞 피케팅 참가 신청

지난 9월 말, 기후 정의 실현을 향한 시민들의 뜨거운 열망으로 탈석탄법 청원이 성사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많은 산이 남았습니다.
국회 상임위원회가 실질적으로 청원을 심사하도록 압박하는 행동이 필요합니다.

기후정의행진에 동참한 3만 5천 명의 시민 여러분,
탈석탄법 청원에 동의한 5만 명의 시민 여러분,

삼척 주민들과 함께 국회에 응답을 촉구해주세요!
국회 앞에서 우리 만나요!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모두의 행동🔥

언제? 11월 23일부터 12월 말까지, 11시 30분~12시 30분 사이
🏦 어디서? 국회 앞에서
🙋‍♀️ 무엇을? 피케팅과 참가자 릴레이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피켓을 직접 만들어 오시면 좋습니다~)

🟣 참가신청
bit.ly/탈석탄행동

*11월 23일 행동 선포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국회 앞 피케팅과 의원실 방문, 촉구 서한 전달 등의 행동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탈석탄법 청원, 지금 어떤 상태인가요?
21대 국회에 요건을 갖춰 제출된 국회 청원은 총 107건으로, 이 가운데 단 11건이 처리되었고, 탈석탄법 청원을 포함한 96건이 계류 중이라고 합니다. 탈석탄법 청원은 지난 9월 29일 5만명의 동의를 얻어 9월 3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회부되었으나, 정기국회(9.1.~12.9.) 기간에 맞물려 심사되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를 강력하게 압박하지 않으면, 국내 마지막 신규 석탄발전소인 삼척블루파워를 중단하기 위한 법안 제정이 계속해서 미뤄질 수도 있습니다.

2022년 11월 16일
삼척석탄화력반대투쟁위원회,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시민사회연대

- 문의 :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010-3693-3971)

#탈석탄법제정 #석탄발전소 #삼척블루파워건설중단 #기후정의행진 #기후활동가 #어린이 #청소년 #모두함께해요 #국회앞피켓팅 #지구하마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