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뉴스 ; 정치하는엄마들 NEWS
182 subscribers
3.36K photos
43 videos
33 files
4.17K links
Download Telegram
[연대/차별금지법 있는 나라 만들기 유세단]

정치하는엄마들 부천모임 함께 합니다!

🎈차별금지법 있는 나라 만들기 유세

• 일시 : 2022년 1월 28일(금) 11:00~18:30
• 장소 : 경기도 부천시
• 주요 유세
– 오전 11시 역곡역 남부
– 오후 12시 옥길동 스타필드
– 오후 1시 30분 부천역 남부
– 오후 2시 30분 중동,상동시장
– 오후 3시 30분 부천시청
– 오후 5시 30분 고강제일시장

유세에 함께 하고 싶은 분들은 위 시간대에 해당 장소로 오시면 됩니다!
– 다만 진행 일정과 도로 상황에 따라 시간 및 유세지역은 당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마지막 집중유세의 정확한 집결지를 안내하기는 어려우나, 근처에 오시면 유세차량 음악소리로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


🎈차별금지법 있는 나라 내일을 여는 극장 in 부천시

나 여기 있어요 우리 이제 평등 해요
차별금지법 있는 나라에서
우리가 만들 내일-

• 일시 : 2021년 1월 28일(금) 저녁 7시
• 장소 : 신청자에 한해 상영회 장소를 개별 안내해드릴 예정입니다.


🎬 <평등길1110> 영화 상영
- 김정근 장은우 김설해 정종민 장민경 김일란 감독 | 2021 | 다큐멘터리 | 48분 | 한국
- 영화정보와 해설 : https://inhuriff.org/3446

🌈 이야기마당 with
– 지병수 (부천무지개유니온)
– 사누 (아시아인권문화연대)
– 허혜영 (사단법인 경기장애인부모연대 부천지부)
– 예정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차별금지법 있는 나라 만들기 유세단 일정 보기
https://equalityact.kr/change/

#차별금지법있는나라만들기유세단 #모두를위한평등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아동학대대응팀 소식]

정치하는엄마들은 마리아수녀회가 서울시로부터 위탁 받아 운영한 아동복지시설 '꿈나무마을'에서 일어난 아동학대 피해자들에게 법률 및 의료 지원하고 있습니다. 👩🏽‍⚖️ ⛪️🙆🏻‍♀️

지난 1월 25일 MBC <PD 수첩>을 통해 보육교사들의 아동학대, 운영 책임자들이었던 수녀들의 폭력과 방관이 폭로되었습니다.

🎥 [PD수첩] 나의 '가족'을 고발합니다
전반부 ①https://youtu.be/jKVtTexlGlU
후반부 ②https://youtu.be/gLgZd0Jv61s
(사건을 지원하고 있는 정치하는엄마들 법률팀 박인숙 변호사 인터뷰 09:43)

방송 이후 26일 해당 졸업생들이 살던 당시 꿈나무마을을 운영하던 마리아수녀회는 사과문을 발표하고, 모든 사업에서 손을 떼겠다고 밝혔습니다.

🔸[카톨릭뉴스] 꿈나무마을' 마리아 수녀회, "책임 통감, 모든 사업에서 철수"
http://cms.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65

학대 피해자들이 무탈히 일상을 지낼 수 있길 바라며, 서울시 및 마리아수녀회 등 책임자들에게 엄중한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응원 바랍니다.

#아동복지시설 #꿈나무마을 #서울시 #아동학대 #마리아수녀회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법률팀
[연대/🌈차별금지법 있는나라 만들기 유세단_부천]

지난 1월 28일 정치하는엄마들은 부천지역에서 ‘차별금지법’을 알리는 유세단으로 함께 했는데요. 김민정 활동가의 차별금지법제정 유세발언을 나눕니다.

❝어떤 사람은 30세를 넘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입사면접에서 탈락 했습니다.
어떤 사람은 휠체어를 탄다는 이유로 보험가입을 거부당했습니다.
어떤 사람은 성소수자들의 행사라는 이유로 체육관 대관이 취소되었습니다.
어떤 사람은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목욕탕 출입을 거부당했습니다.
이렇게 여전히 우리 사회에는 숨어있는 차별들이 있고
차별금지법은 그 차별들을 찾아내는 거름망이 되어 줄 것입니다.

차별금지법은 누구나 차별 없이 평등하게 살 권리를 지켜주는 법입니다.❞

🏳️‍🌈🙋🏽‍♀️김민정활동가 발언문 전문보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2125

#모두를위한평등 #차별금지법제정 #차별금지법있는나라만들기유세단 #부천하마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김민정활동가
[연대/🌈차별금지법 있는나라 만들기 유세단_부천]

지난 1월 28일 정치하는엄마들은 부천지역에서 ‘차별금지법’을 알리는 유세단으로 함께 했습니다.
부천지역 서이슬활동가의 차별금지법제정 유세발언 나눕니다.


"제게는 8년 여의 해외생활 경험이 있습니다. 해외에 살땐, 집밖에 나가면 나와 비슷한 사람을 만나기가 어려웠습니다.

모국에 돌아온 지금은 완전히 거꾸로입니다. 그럼 더 편해야 할텐데, 이상하게도 그게 그리 편치 않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것입니다. 매일 아침 출근 시간, 지하철 안에서, 버스 안에서 휠체어 이용자를 만나본 경험이 한국에선 아직 한 번도 없습니다. 해외에 살 땐 매일 겪었던 일입니다. 버스를 타면 적어도 꼭 한 번은 휠체어 이용자가 버스에 탑승했고, 그 때마다 승객들은 휠체어 이용자를 위해 접이식 의자를 접어 올려 자리를 만들어주었습니다.
아이를 데리고 간 공공도서관에서 발달장애인 아동/청소년을 만나본 경험이 한국에선 아직 한 번도 없습니다. 해외에 살 땐 이 역시 자주 겪었던 일입니다.

그뿐인가요. 그곳에 살며 친해진 한 친구는 어느 가을날, 동성의 파트너와 조촐한 결혼식을 치렀고, 이웃 할머니의 손주는 가족과 친구들 앞에서 커밍아웃을 하고 앞으로는 자신의 이름을 다르게 불러달라고 청했습니다.

그곳에서 태어난 저의 아이는, 선천성 희소질환을 갖고 태어나 특이한 생김새를 갖고 있습니다. 이 아이는 도서관에서 만나는 발달장애 청소년이나 가게에서 일하는 장애 여성을 보면서, 동네에서 만나는 다양한 색깔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자신의 몸과 자신의 삶을 긍정하며 자랐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다양한 모습으로 태어나 살아간다는 걸 자연스레 배웠습니다."

🏳️‍🌈🙋🏽‍♀️서이슬활동가 발언문전문보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2124

#모두를위한평등 #차별금지법제정 #차별금지법있는나라만들기유세단 #부천하마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서이슬활동가
아동 노인 여성 장애인까지…“NO! 학대!” 논산의 실험

[한겨레/기자 최예린·하어영]

가정 안에서 일어난 모든 학대를 통합 관리하는 논산시의 시도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는 “시민단체도 아동학대나 가정폭력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선 통합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계속해왔다”며 “사례관리를 할 때도 각각의 사람으로 접근하는 것보단 한 가정으로 접근하는 게 필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논산시의 시도는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사 전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1029723.html

#아동학대대응 #가정폭력학대관리는가정단위로 #논산시 #학대신고대응센터 #학대통합관리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장하나활동가
[아동학대대응팀 활동공유]

정치하는엄마들은
유치원 학대 피해 아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유치원 강제급식으로 인한 피해로 아동은 여전히 트라우마를 겪고 있지만 수사는 부진합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베이비뉴스] “아이가 학대 피해를 호소하는데, 아무도 듣지 않아요”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580

트라우마로 인한 ‘말 반복’ 증상이 시작된 후, 김 씨는 바로 유치원에 찾아가 “수민가 5살 때 이야기를 하며 사과를 받아달라고 한다. 혹시 이런 일이 작년에 있었으면 알려달라”고 요청했지만, 아무런 답변을 받을 수 없어서 8월 30일 경찰서에 신고를 했다. 김 씨는 “시간이 지날수록 수민이의 상태는 계속 심각해졌다. 길 가는 사람을 붙잡고 이야기를 할 정도였고, 집에서는 하루종일 그 말만 반복했다”고 당시를 설명했다.

🟣[베이비뉴스] “아동학대 피해자의 증언, 아이의 말이라고 듣지 않으려고 하면 안 됩니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136

보건복지부의 ‘2020 아동학대 주요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아동학대사례인 3만 905건 중 학대행위자를 대상으로 고소·고발 등의 사건처리 조치를 취한 것은 1만 1209건으로 36.2%다. 고소·고발이 진행된 경우는 1만 455건으로 93.3%인데 반해, 아동학대처벌법에 따라 처분이 행해진 경우는 754건인 6.7%이다.

🟣[JTBC] "기억이 너무 딱딱해" 6살 아이의 호소…수사 왜 더딜까
https://mnews.jtbc.joins.com/News/Article.aspx?news_id=NB12045086

#아동학대 #아동학대대응 #기관아동학대 #아동학대근절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아동학대진상조사법, 발의 후 1년] "쟁점법안에 밀리고, 대선에 치이고 …"

[내일신문/기자 김형선]

특별법 필요성을 주장해온 시민단체 정치하는엄마들의 장하나 활동가는 "진상조사가 실시되면 아동학대 사건과 관련된 경찰, 검찰은 물론이고 복지부 등 여러 부처가 진상조사 대상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법안에 소극적인 게 아닌지 걱정"이라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진상조사해야 하는 학대사건들만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국회와 정부가 기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13037

#아동학대진상조사특별법 #발의1년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장하나활동가
누구나 한때 어린이였고, 언젠가 노인이 된다

[한겨레S] 차별금지법 있는 나라 ⑥ / 오은선 활동가

❝좁고 턱이 높은 입구와 수많은 계단,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하철역, 저상버스가 아닌 일반버스로는 도저히 유아차를 이용해 움직일 수가 없다. 유아차가 갈 수 없는 길은 휠체어는 물론 다리가 아픈 사람이나 노인 역시 이동하기 어렵다. 모두 한때 어린이였고 노인이 되어가며, 누구나 다치거나 아파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개인의 어려움으로만 치부될 뿐 사회 구조적으로 개선되지 않고 있다.❞

🟣기사 전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29835.html

#노키즈존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모두를위한평등 #오은선활동가
❝쓰레기 정치를 시작하자❞

2022 대선 기획: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라⑥ 탈 플라스틱

[일다/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손세라 활동가는 “엊그제 제로웨이스트 홈 카페에 페트병 주둥이에 남아있는 고리를 떼어내다가 손을 베었다는 글이 올라왔다. 내 손을 거쳐 간 물건이 잘 재활용되기 바라는 마음으로 각종 공구까지 동원해가며 애써 분리배출을 해보지만, 실상은 헛수고인 경우가 많다. 정부는 애꿎은 시민들만 달달 볶기 전에, 고품질 재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자원순환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우선이다. 또한, 생산 단계에서부터 자원 순환이 가능하게끔 만들도록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재활용 인프라가 받쳐주더라도 소재 자체가 재활용이 불가하다면 대책이 없다. 시민들만 헛고생시키고 혼란에 빠뜨리는 정책이 아닌, 실용적이고 검증된 쓰레기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유혜선 활동가는 “핀란드의 분리배출 제도는 대체로 한국과 비슷하지만 기본적으로 쓰레기를 ‘적게’ 만드는 정책적 흐름이 느껴졌고, 역시 크게 다른 점은 빤띠라는 (유리병, 캔, 페트병) 보증금 제도였다. 결국 '교육'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는데, 어릴 때 만들어진 가치관과 이를 체득하게 만드는 문화가 진짜 중요하다고 느꼈다. 무엇을 소비할 것인가?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이런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 같다.”고 이야기한다.

줍깅(줍기+조깅)=플로깅 문화가 놀랍도록 확산되고 있다. 행동하는 소비자들 모두가 활동가다. 활동가들과 환경단체들이 한국의 탈 플라스틱을 주도해 왔고, 세계 최초의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시행까지 눈부신 성과를 이뤘다. 2022년 각자의 자리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자원순환을 실천하는 모두가 한 가지 목표를 가지면 어떨까? 페트병 보증금 제도를 도입해서 재활용 선진국으로 한걸음 다가가는 것 말이다.

올해는 다같이 대한민국 정부를 어택하자!

2022년 플라스틱 어택은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 정부세종청사 6동 환경부 장관실로!

🟣기사 전문 보기
https://www.ildaro.com/9267

#쓰레기정치 #탈플라스틱 #재활용 #새활용 #환경보건 #정치하는엄마들 #지구하마 #장하나활동가 #손세라활동가 #유혜선활동가
[배수민 공동대표 사임인사] 정치하는엄마들 회원들께 드리는 말씀

사랑하고 존경하는 <정치하는엄마들>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배수민입니다.

저는 올해 6월 1일에 있을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제가 살고 있는 인천시 연수구에서 정의당 소속 구의원으로 출마할 예정입니다.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로서 늘 '당사자정치'의 필요성을 주장해온 저였지만, 막상 실제 의회정치에 뛰어들려고 보니 낯설고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정당 활동이나 선거 운동 등은 말할 것도 없고 가족에게 매일 양해를 구해야 하는 것 또한 제가 헤쳐 나가야 할 과정입니다.

무엇보다 제가 공동대표 직을 유지하면서 특정 정당의 당원으로서 활동하고 선거에 임하는 것이 과연 저와 우리 단체에 득이 될 것인가 고민이 되었습니다.

제가 공동대표로서 정의당 당원활동을 이어가고 선거에 출마하게 되면 우리 단체의 정치적 다양성에 오해를 불러올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선거 기간 중 대표직을 수행할 여력이 될지도 걱정되고 공동대표의 목소리가 정당 입장에 묻혀버릴 수 있겠다는 염려도 되었습니다.

저에게 있어 정치하는엄마들은 정말로 소중한 단체입니다. 모자란 것이 많은 저였으나 어떻게든 단체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공동대표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런 마음이었기에 공동대표의 출마가 단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면 저는 대표직을 사임하는 것이 맞겠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지방선거 예비후보 등록일이 2월 18일입니다. 그래서 그 전인 오늘 2월 7일 부로 공동대표를 사임하고자 합니다.

저의 출마를 응원해 주시며 단체의 앞날도 함께 진지하게 고민해 주시는 회원님들께 언제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대선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욱 바빠진 사무국과 회원 여러분께는 공동대표 보궐 선출이라는 부담을 드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저보다 더욱 훌륭한 분께서 공동대표로서의 역할을 잘 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여성, 양육자, 돌봄노동자, 어린이, 청소년, 장애인과 그 양육자가 '여기에 있다'라고 목소리 내는 법을 알려준 정치하는엄마들!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로서 언제나 부끄럽지 않은 자신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이왕이면 6.1 지방 선거 때 좋은 소식도 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새해 모두 무탈하시고 평안하시길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2월 7일
배수민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 드림

🟣http://www.politicalmamas.kr/post/2133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암수범죄, 아동학대를 부검하다〉

KBS 시사기획 창

+정치하는엄마들 함께 했습니다

암수범죄(暗數犯罪). 사건이 일어났지만, 수사기관에 인지되지 않아 공식 통계에 집계되지 않는 범죄를 말한다. 아동학대가 그렇다. 대부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은밀하게 벌어지다보니, 학대 사실을 파악하기조차 어렵다.

KBS [시사기획 창] 제작진은 어린이날 제정 100주년을 앞두고,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부검을 시도한다. 전문가와 함께 최근 2년 동안 전국 법원의 1심 형사 판결문 천4백여 건을 전수 분석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사건들을 추적하고, 이에 대한 사회와 국가의 책임을 묻는다.

또, 아동학대 범죄가 끊이지 않고 반복되는 이유를 진단하고, 해외 사례를 통해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KBS 시사기획 창 방송보기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5388304

👩🏽‍⚖️뉴스 페이지 : 판결문 1406건의 아동학대 기록
https://news.kbs.co.kr/special/childabuse/index.html



국회 보건복지위에 계류되어 있는 '아동학대 진상조사 특별법'이 발의된 지 벌써 1년이 지났습니다. 국회가 법안 심사를 차일피일 미류는 동안 진상조사해야할 아동학대 사건들이 쌓여가는 비극적인 현실입니다. 국회는 2월 안에 속히 아동학대진상조사특별법 통과로 죽음에서 배울 의무를 저버리지 말 것을 촉구합니다.

#아동학대 #암수범죄 #아동학대진상조사특별법 #죽음에서배울의무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아동학대대응
[성명서] ‘하준이법’ 때문이 아니라 탁상행정 탓이다!
노현송 강서구청장과 김경호 강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은 故최하준 어린이 유가족과 시민에게 즉각 사과하라!

지난 2월 8일 SK브로드밴드 서울방송 보도에 따르면 강서구청과 강서구시설관리공단은 거주자 우선주차 구역 45면을 삭제한 것에 대해 ‘하준이법 때문에 지웠다’며 말도 안 되는 변명을 했다. 하준이법은 주차장을 없애는 법이 아니다.

SK브로드밴드 서울방송 보도 (2월 8일 방송)
“① 하준이법 적용하랬더니…되레 주차구역 없앤 강서구"
https://www.youtube.com/watch?v=iBHnt1HlyOA

하준이법은 어린이가 안전해야 마땅한 서울랜드 주차장에서 미끄러져 내려온 차량에 치여 세상을 떠난 이의 이름을 단 법이다. 개정된 주차장법 제6조에 3항에 따라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사진 곳에 주차장을 설치하는 경우 주차된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형 고임목 등을 설치하거나 비치하고 미끄럼 주의 안내표지를 설치해야 한다.

주차장법 제6조(주차장설비기준 등) ③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사진 곳에 주차장을 설치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고임목 등 주차된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과 미끄럼 주의 안내표지를 갖추어야 한다. <신설 2019. 12. 24.>

하준이법은 비탈길 주차장에서 차가 굴러가지 않게 조치하고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아 생명을 잃은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에 만들어진 법이다. 법을 수행하는 행정기관은 주차장법 개정의 취지를 살리고 민원을 풀어야할 마땅한 책무가 있다.

강서구청과 강서구시설관리공단은 어땠는가? 강서구청과 강서구시설관리공단이 하준이법을 따랐다면 경사로 주차장을 없애는 게 아니라 그 자리에 고임목을 설치했어야 했다. 하지만 이들은 법의 취지와 무관하게 주차구역을 없애면서 자신들의 실책으로 발생한 민원에 대해 뻔뻔하게도 ‘하준이법 때문’이라며 핑계를 댔다.

법도 안 따르고 민원도 귀담지 않을 거면 대체 그 자리에 왜 있나?
자신들의 직무유기·탁상행정에 대한 책임을 왜 유가족과 시민에게 떠넘기나?

정치하는엄마들은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힘써온 유가족에게 큰 상처를 주고 준법정신을 훼손한 강서구청과 강서시설관리공단을 강력히 규탄한다!

노현송 강서구청장과 김경호 강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은 故 최하준 어린이 유가족과 시민들에게 당장 사과하라!

2022. 2. 10.
정치하는엄마들

#하준이법 #어린이생명안전 #노현송_강서구청장 #김경호_강서구시설관리공단이사장 #탁상행정 #직무유기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교통안전

🟣성명서 전문보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2135
[집중 행동] 아동학대특별법 제정 촉구 문자행동 함께 해주세요! 🙋🏻‍♀️🔥✉️

오늘 10일(목)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 법안소위에서 '아동학대특별법'을 심의하지 않았습니다. 11월 소위 때 계속 심사를 약속하더니, 법안이 발의된 지 1년을 넘겨 버렸습니다.

국회가 손놓고 있는 동안 진상조사를 해야 하는 아동학대 사건들만 늘어났습니다.

'국가 차원의 아동학대 사망사건 진상조사' 하루가 시급합니다.

국회가 하루빨리 소위를 열어 아동학대특별법 계속 심의, 의결할 수 있도록 문자행동 함께 해주세요!


🟣복지위 소속 의원에게 문자 행동하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2137


문자예시 ✉️

안녕하세요. 정치하는엄마들 ㅇㅇㅇ입니다. 오늘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 법안소위 안건에 <양천아동학대사망사건 등 진상조사 및 아동학대 근절대책 마련 등을 위한 특별법>이 빠졌습니다. 국회의원 139명이 공동발의한 법안이 1년 넘게 제자리입니다.

지난 8일 KBS 보도에 따르면 2020년 대한민국 아동학대 발견율은 4%에 그쳤으며, 보건복지부가 발표하는 '아동학대 주요 통계'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학대 사망아동 통계가 적게는 2배, 많게는 4배 이상 차이가 나는 등 기본 조사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시사기획 창] 암수범죄, 아동학대를 부검하다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5388304

■판결문 1406건의 아동학대 기록: 아동학대의 실체, ‘팩트체크’
https://news.kbs.co.kr/special/childabuse/issue4/index.html

#미안해 외치며 공동발의한 139명의 의원님들, 법안 발의만 하면 아동학대가 해결됩니까? 복지위 위원님들, 이어지는 죽음의 행렬... 더는 지체하지 마십시오!

속히 법안소위를 열어 아동학대진상규명특별법 심의, 의결하십시오.


복지위 소속 국회의원 연락처🗣

010-2763-9700, 010-3680-4327, 010-5384-3390, 010-8681-2505, 010-8321-4853, 010-3362-5741, 010-9938-8182, 010-3660-9535, 010-5329-2392, 010-7479-3727, 010-9050-1098, 010-8725-8121, 010-3892-5747, 010-7330-8118, 010-9028-7979, 010-9280-6451, 010-3235-3478, 010-2992-4000, 010-8961-6760, 010-3414-5521, 010-3814-7312, 010-9832-7172, 010-7577-5022, 010-3565-5482

#아동학대 #암수범죄 #진상조사 #아동학대특별법 #죽음에서배울의무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