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하마 ; 정치하는엄마들 NEWS
220 subscribers
4.9K photos
73 videos
33 files
5.24K links
Download Telegram
[돌봄 공공성 강화]

돌봄 공공성 강화! 윤석열 정부 민영화 저지!

지난 10월 12일 세종과 서울에서 동시에 열린 <민주노총 돌봄 노동자 대회>에 참가했습니다. 정치하는엄마들은 돌봄노동자들과 함께 용산 대통령실 앞까지 행진하며 돌봄의 국가책임과 공공성 강화, 돌봄 일자리의 질적 개선을 요구하며 함께 연대했습니다.

●관련기사

[참여와혁신] “돌봄 민영화 시도 중단하고 국가 책임 강화하라”
http://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77

[민중의소리] 정치하는엄마들 돌봄 공공성 강화 촉구
https://vop.co.kr/A00001621172.html

🟣보도자료· 최서연 활동가 연대 발언 보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2560

#돌봄 #돌봄노동자 #돌봄서비스 #민간주도 #민영화 #민주노총 #공공연대노동조합 #아이돌보미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 #노인생활지원사 #대체교사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박민아활동가
[돌봄공공성강화 소식]

지난 22일(토) 서울역에서 열린 '2022년 돌봄노동자 행진'에서 돌봄노동자들과 함께 정치하는엄마들도 연대 했습니다.

🟣관련기사 전문 보기

[오마이뉴스 | 김호세아] 소수의 이윤이 아닌 모두를 위한 돌봄을 위해 걷습니다
http://omn.kr/21aqf

🙋🏻‍♀️최서연 활동가 발언 전문
http://www.politicalmamas.kr/post/2585

#돌봄공공연대 #돌봄노동자행진 #공공운수노조 #사회복지사 #장애인활동지원사 #요양보호사 #보육교사 #참여연대 #서울요양보호사협회 #발달장애아동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정치하는엄마들 | 돌봄 공공성 확보와 돌봄권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
“혁신인가, 퇴행인가” 윤석열 정부 사회서비스 정책 문제 진단 토론회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가 토론자로 함께 합니다"

◈ 일시 : 2023년 6월 19일(월) 오전 10시 30분
◈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
◈ 주최 : 보건복지위원회 국회의원 남인순·강훈식·최혜영 의원, 돌봄 공공성 확보와 돌봄권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

▫️사회 : 김진석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장

▫️현장 진단
-. 사회서비스원 현황 진단 : 최정우 민주노총 미조직전략국장
-. 가정내 돌봄 정책 진단 : 최영미 한국노총 전국연대노조 가사·돌봄서비스지부 위원장

▫️ 발제 : 양난주 대구대학교 교수

▫️토론
-.최영 중앙대학교 교수
-.전용호 인천대학교 교수
-.최서연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장은섭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정책과장

🟣소식 자세히 보기:https://www.politicalmamas.kr/post/3205

#사회서비스원 #공적돌봄강화 #공적돌봄확대 #돌봄공공성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이 궁금하시다면?
http://linktr.ee/politicalmamas
“소아 응급실 뺑뺑이 복지부는 뭐 했나”···부모단체, 감사원에 공익감사 청구

[경향신문 | 기자 민서영]

두 아이의 엄마인 윤은미 정치하는엄마들 소아의료팀 활동가는 “지난 4월 아이가 염증 수치 22.95의 위급한 상태로 의식이 가물거리는 상태에서 응급실을 방문했지만, 새벽 6시면 문을 닫는다는 대학병원의 운영방침에 따라 소아 병상이나 일반 응급의료센터로 옮겨지지도 못하고 의식이 없는 아이와 함께 병원 밖으로 내쳐졌다”며 “이 땅의 어떤 아이들도 아플 때 병원 문턱을 넘지 못해 밖에서 죽어가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최서연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는 “저희 아기들이 코로나에 감염돼 여러 바이러스와 염증 등으로 40도 가까운 고열에 시달리는데도 세종충남대병원 응급실에 입원을 세 차례 거부당했다”며 “원천적으로 진료가 불가능하다는 상황은 양육자들을 불안과 무력감에 빠트린다. 이런 불안감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저출생 문제를 논하는 것은 근본적인 원인을 도외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이같은 소아 응급의료 체계 붕괴는 의사·환자 간 갈등을 방치한 복지부와 지자체에 책임이 있다며 감사원이 나서라고 촉구했다.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인 서성민 변호사는 “(복지부와 지자체가) 법률에 명시한 기본 책무를 다하지 않아 현재 소아응급의료 상황은 의사 단체의 소아과 폐과 선언이 발생하고, 각 의료계 종사자들과 환자들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며 “본 감사 청구는 현재 소아응급의료시스템 붕괴의 근본적 원인이 복지부와 지자체에 있다는 것과 그 구체적 원인이 복지부와 각 지자체의 어떤 위법 또는 부당한 사무처리였는지를 감사원이 조사해 밝혀주라고 요청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보도 전문 보기
https://m.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307041530011

🟣보도자료 자세히 보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3247

※ 감사청구서, 상급종합병원 소아응급환자 수용현황 조사결과 등 원본 자료는 정치하는엄마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아응급의료체제붕괴 #소아응급실뺑뺑이 #공익감사청구 #감사원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상급종합병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모두가엄마다 #소아의료 #정치하는엄마들 #PoliticalMamas #윤은미활동가 #최서연활동가 #서성민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이 궁금하시다면?
http://linktr.ee/politicalmamas
“소아응급실 ‘새벽 6시 전 퇴원·입원 불가’ 동의해야 받아줬다”

[한겨레 | 기자 김윤주]

정치하는엄마들, 감사원에 복지부·지자체 공익감사 청구

“병원 접수 창구에서 ‘응급 치료가 길어지더라도 새벽 6시 이전에는 무조건 병원에서 나가야 하고, 입원은 절대 불가능하다’는 조건에 동의한 뒤에야 겨우 아이를 데리고 응급실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윤은미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는 지난 4월 경기도 한 종합병원 소아응급실에 세 살 아이를 데려갔다가 이런 일을 겪었다고 토로했다. 4일 서울 종로구 감사원 앞에서 시민단체 정치하는엄마들이 연 ‘소아 응급의료 체계 붕괴 책임을 묻는 공익감사 청구 기자회견’에서 윤씨는 “응급실에서 검사 결과 폐렴이었고, 염증 수치가 높아 꼭 입원해야 한다고 진단하면서도 내줄 입원 병상은 없다고 했다. 그때 응급실에 왔던 다른 아이도 낙상사고 뒤 구토를 했지만, 마찬가지로 ‘새벽 6시엔 나가야 하고, 시티(CT)상 뇌출혈이 있더라도 입원은 못 한다’는 조건으로 진료를 봤다”고 기억했다.

두 살짜리 쌍둥이를 둔 최서연 활동가도 이 자리에서 "아이들이 코로나19 등에 걸렸을 때, 병상이 없거나 소아과 전문의가 없다는 이유로 응급실 입원을 세 차례 거부당한 적이 있다”며 “아이가 아픈데 치료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부모를 무력감에 빠지게 한다"고 말했다.

정치하는엄마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국 45개 상급종합병원 가운데 소아 응급환자를 365일 24시간 수용할 수 있는 곳은 12곳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나마 이 가운데 8곳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단체가 지난달 7일부터 23일까지 해당 병원들에 유선으로 조사한 결과와 단체로 접수된 이용자 경험을 종합한 결과다.

📰보도 전문 보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98694.html

🟣보도자료 자세히 보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3247

※ 감사청구서, 상급종합병원 소아응급환자 수용현황 조사결과 등 원본 자료는 정치하는엄마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아응급의료체제붕괴 #소아응급실뺑뺑이 #공익감사청구 #감사원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상급종합병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모두가엄마다 #소아의료 #정치하는엄마들 #PoliticalMamas #윤은미활동가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이 궁금하시다면?
http://linktr.ee/politicalmamas
"맞벌이도 외벌이도 부자아이도 차별없이 '초등돌봄' 보장하라"

[베이비뉴스 | 기자 전아름]

| 정치하는엄마들, 24일 '당사자가 바라는 '늘봄학교' 발표 기자회견

초등학교 입학 시즌을 앞두고 여기저기서 앓는 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돌봄교실'에 떨어졌다는 탄식, 원하는 시간대의 '방과 후 활동' 등록에 실패했다는 절망감이 섞인 소리다. 아이가 어릴 때는 어떻게든 어린이집에 맡겨놓고 꾸역꾸역 일을 이어온 양육자들도 '초1맘'에 진입하고선 무릎을 꿇고 만다. 도무지, 학원 말고는 방법도 대안도 없기 때문이다.

정치하는엄마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아동과 양육자가 바라는 '함께늘봄''의 청사진을 제시하며 우선 맞벌이도, 외벌이도 차별없이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편적 복지로서의 늘봄학교 실현을 위해 초등돌봄교실의 이용자격을 전면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재 돌봄교실 이용 우선순위는 한부모가정, 저소득층, 맞벌이가정인데 이 지원 자격을 없애고 '다함께돌봄센터'와 마찬가지로 돌봄교실의 이용 대상을 전 학년으로 확대하자는 것. 

정치하는엄마들은 "△맞벌이·외벌이 등 차별 없이 누구나 이용하는 늘봄학교 △탈락자 없이 희망 학생 누구나 수용하는 늘봄학교 △놀 권리와 쉴 권리를 보장하는 안락하고 쾌적한 늘봄학교 △‘1 돌봄교실 2 전담사’ 제도로 안전한 늘봄학교 △학교급식법에 따른 양질의 급·간식, 방학 중에도 급식을 제공하는 늘봄학교 등 “함께늘봄”이 나아갈 방향을 교육부에 제안한다"라며 "정부는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 학교에서 돌봄을 책임지겠다는 늘봄학교 정책이 장시간 노동국가, 과로사회 대한민국이 쥐어짜 낸 고육지책에 불과함을 자성해야 한다. 돌봄공백·돌봄지옥 문제의 근원적 해법은 노동시간 단축이다. 아동이 하루 13시간 이상 학교·학원·기관을 전전하지 않도록,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돌봄권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자세히 보기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719

🟣참가자 발언 & 늘봄학교 요구안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3684

#정치하는엄마들 #초등돌봄 #늘봄학교 #함께늘봄 #권영은활동가 #박민아활동가 #배수민활동가 #오은선활동가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요
“회원가입 & 새로운 소식”
https://linktr.ee/politicalmamas
[정치하는엄마들] 2024년 제8회 정기총회

신임 공동대표단 권영은·남궁수진·최서연 선출

지난 3월 16일(토) 서울여성플라자 아트컬리지에서 제8회 정기총회를 열어 공동대표 선출의 건 등 주요 안건을 처리하고 신임 공동대표에는 권영은, 남궁수진, 최서연 세 회원이 선출되었습니다.

🟣2024년 공동대표 선출 보도자료
https://www.politicalmamas.kr/post/3767

#정치하는엄마들 #신임공동대표 #권영은활동가 #남궁수진활동가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요
“회원가입 & 새로운 소식”
https://linktr.ee/politicalmamas
정치하는엄마들, 신임 공동대표단 권영은·남궁수진·최서연 선출

[베이비뉴스 | 전아름 기자]

| 16일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제8회 정기총회 개최, 공동대표 선출 등 주요안건 처리

비영리민간단체 정치하는엄마들은 지난 3월 16일 서울여성플라자 아트컬리지에서 제8회 정기총회를 열어 공동대표 선출의 건 등 주요 안건을 처리하고 신임 공동대표로 권영은, 남궁수진, 최서연 회원을 선출했다고 19일 밝혔다.


권영은 공동대표는 "아이를 낳고서 모성이라는 이름으로 강요되는 엄마에게 주어지는 책임과 역할이 무거워지고 의심이 들 때마다 정치하는엄마들을 찾았고, 화답하는 보라색 분노에 힘이 났다’며 ‘뒤이어 오는 사람들에게도 길이 될 수 있도록 되돌아보고, 정치하는엄마들이 일상과 육아의 틈을 타 다져온 활동들이 더 빛나도록 연대와 변화로 이어가겠다’고 공동대표 소감을 밝혔다.

남궁수진 공동대표는 "지난 7년간 누린 정치하는엄마들의 돌봄의 공동체성을 더 많은 분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며 "단체 목적인 모든 엄마가 차별받지 않는 성평등 사회·모든 아동들의 권리가 보장되는 복지 사회·모든 생명이 폭력 없이 공존하는 평화 사회·현재와 미래 세대의 환경권을 옹호하는 생태 사회를 건설하는 그 날이 될때까지 뚜벅뚜벅 그 길을 가고 싶다"고 소감을 말했다.

최서연 공동대표는 두 어린이를 돌보는 양육자로 "늦은 나이에 초보 엄마가 되어 많은 것들을 배우고 겪고 양육하면서, 직업인으로서의 나를 압도하는 ‘엄마로서의 정체성’이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해진 상황을 맞이했다"며 "‘저출생’과 ‘노키즈존’ 등으로 드러나는 이 사회의 구조적 병폐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은 뒷전으로 미루고 있는 제도권을 향해, 더욱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에 대한 부분까지 대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공동대표 당선 소감을 전했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929

🟣2024년 공동대표 선출 보도자료
https://www.politicalmamas.kr/post/3767

#정치하는엄마들 #신임공동대표 #권영은활동가 #남궁수진활동가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요
“회원가입 & 새로운 소식”
https://linktr.ee/politicalmamas
시민단체 "윤석열표 '가짜' 의료개혁 반대... 공공의료 확충부터"

[한국일보 | 기자 서현정]

"필수의료, 취약층 접근권 보장해야"
"정부, 'OECD 꼴찌' 공공의료 회피"

최서연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는 "3세 아이가 병원을 돌다 목숨 잃은 소식을 접하고 분노와 슬픔을 금할 길 없었다"며 "이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과 다름없다는 점을 정부와 의사집단이 깨닫고 하루빨리 (갈등을)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자세히 보기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0314380000872

#필수의료 #공공의료확충 #최서연활동가 #정치하는엄마들

🙋🏽‍♀️🤱🏼🤰🏼🏃🏽‍♀️👩🏽‍🦯🙎🏻‍♀️👩🏻‍🦽🧕🏼👨🏻‍🍼🙆🏻‍♀️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요
“회원가입 & 새로운 소식”
https://linktr.ee/politicalmamas
[보도자료] 가짜 의료개혁 반대! 의료공백 해소와 공공의료 확충 촉구! 서울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

- 서울지역 201개 사회단체, 조속한 의료공백 사태 해결과 공공의료 확충 요구

- 정부의 ‘가짜 의료개혁’ 대 의사의 ‘집단 진료거부’ 간 치킨게임 중단 촉구

- “시민과 보건의료노동자 요구와 행동으로 진짜 의료개혁 시작할 것”

📍일시 : 2024년 4월 3일(수) 11:30
📍장소 : 광화문광장 (이순신동상 앞)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3804

#필수의료 #공공의료확충 #소아의료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요
“회원가입 & 새로운 소식”
https://linktr.ee/politicalmamas
연대해 문화제, 행진, 노숙시위까지
"장애인 권리 무관심" 정치권 질타


[한국일보 | 기자 이유진]

최근 치러진 22대 총선을 겨냥해 여전히 장애인 권리 보장에 무관심한 정치권을 성토하기도 했다. 시민단체 ‘정치하는엄마들’의 최서연 공동대표는 “(현 정부와 여당의) 장애인 정책 예산과 지원은 구체적이지 않고, 더불어민주당도 관련 법 개정과 건강권, 교육권, 노동권 관련 내용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총선에서 당선된 3명의 장애인 비례대표를 향해 “부디 구색 맞추기로 끝나지 않았으면 한다”는 당부도 전했다.

📰자세히 보기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4041917110002635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장애인차별철폐의날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요
“회원가입 & 새로운 소식”
https://linktr.ee/politicalmamas
[SBS Biz 뉴스 | 집중진단]

정형선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 · 최서연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

🟣바로 보기

네이버 [집중진단] 尹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양립·양육·주거'에 역량 집중(01:28~)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388953?sid=101

유튜브 [경제현장 오늘 LIVE] 출산율 0.72명 충격...저출생 돌파구 대책은
https://www.youtube.com/live/UL7QSiy7vG0?si=hePelwIO4O52_yzA&t=370

#저출생대책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
[소셜펀치] 정치하는엄마들 보금자리를 지켜주세요
http://bit.ly/2024보금자리
🤷🏻‍♀️저출생 정책? 공동대표 최서연 언니의 통쾌한 사이다! 🫧

🟣정치먹는하마 유튜브👍
https://youtube.com/shorts/r3KHAwJMcqQ?feature=shared

#저출생 #비혼 #최서연활동가 #정치하는엄마들 #PoliticalMamas #정치먹는하마

🙋🏽‍♀️🤱🏼🤰🏼🏃🏽‍♀️👩🏽‍🦯🙎🏻‍♀️👩🏻‍🦽🧕🏼👨🏻‍🍼🙆🏻‍♀️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요
www.socialfunch.org/politicalmamas
[토론회]

성별임금격차 해소 방안 모색을 위한 1차 토론회


: 성별임금격차,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나?

성별임금격차는 한국 여성노동자들의 삶을 흔들리게 하는 심각한 위험요소입니다. 한국은 성별임금격차는 OECD 국가 중 가능 높은 성별임금격차를 가입 원년부터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습니다.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는 기본적인 법과 제도는 마련되어 있으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사각지대가 큰 상황입니다. 여성노동연대회의는 성별임금격차의 심각성을 사회적으로 부각하고 해소 방안을 고민하기 위한 시리즈 토론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24. 09. 11. (수) 오후 2시

■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

■ 온라인 생중계 : 한국여성노동자회 유튜브

■ 프로그램
• 사회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여성위원회 권수정 위원장

• 발제 1 | 일자리 성별분리와 성별임금격차 해소 - 김난주(여성정책연구원)

•현장 사례발표 1 | 전국여성노조 인천지부 신희숙 인하대 분회장

• 발제 2 | 사회서비스 돌봄노동자의 저임금 : 원인과 해법을 찾아서 - 양난주 (대구대 사회복지학과 )

• 현장 사례발표 2 |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김정남 사무국장

• 발제 3 | 무급노동으로서 돌봄 : 문제제기와 사회적 의미 - 홍찬숙(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 현장 사례 발표 3 |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 공동대표*

•플로어 토론

■ 주최 |
- 여성노동연대회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여성노동조합, 한국노동조합총연맹, 한국여성노동자회,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민우회)
- 더불어민주당 전국여성위원회(위원장 : 이재정)
- 국회의원 정혜경(진보당), 국회의원 이용우(더불어민주당)

■ 오프라인 참석을 원하시는 분들은 토론회 당일 입장을 위해 신분증을 지참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당일 온라인 생중계에는 문자통역이 제공됩니다.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182

#성별임금격차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의 모든 것
linktr.ee/politicalmamas
성별 임금 격차를 해소하려면 여성 취업 비율이 높은 돌봄노동의 저평가 문제부터 개선해야 합니다.

지난 1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성별 임금 격차 해소 방안 모색을 위한 1차 토론회’에서 최서연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는 “아이를 낳기 전에는 내가 돈을 잘 벌었기 때문에 비교적 당당했는데 아이를 낳은 후에는 무급 돌봄노동을 내가 주로 맡으면서 남편에게 뭔가 미안해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며 “내 스스로의 가치가 결국 사회에서 받았던 급여로서 평가받고 정해지는 것인가라는 생각이 나를 힘들게 했고 자기효능감마저 떨어지게 했다”고 발언했습니다.

이어서 “나는 파트타임으로 일하면서 돌봄노동을 하고 있지만 무급 돌봄노동을 전담하는 여성들은 가정 내 갈등, 사회적 배제나 박탈감을 경험하며 추가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이라며 “드러난 성별 임금 격차 문제뿐만 아니라 감춰진 성별 임금 격차 차원에서 유급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무급 돌봄노동자의 가치를 재평가하는 문제도 고민했으면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 관련 기사 보러가기

[참여와혁신 | 기자 임혜진] 성별 임금 격차 해소, 돌봄노동 재평가로부터

https://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398

🟣토론회 현장 & 자료집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182

#성별임금격차 #돌봄노동재평가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의 모든 것
linktr.ee/politicalmamas
지난 1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성별 임금 격차 해소 방안 모색을 위한 1차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그간 한국사회에서 여성노동자의 노동이 저임금으로 구조화돼 온 현상을 분석하고 저임금의 유급 돌봄노동과 여성에게만 요구되는 무급 돌봄노동을 둘러싼 역학 관계자를 밝히고자 마련된 자리입니다.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 공동대표는 노동자로서 여성의 삶을 돌봄노동이 어떻게 바꾸는지 임신, 출산 등의 경험을 통해 이야기했습니다.

특히 사회에서 일하는 돌봄노동자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육아, 가사노동 등을 수행하는 무급 돌봄노동자들의 노동 가치를 재평가하는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관련 기사 보러가기

[뉴스클레임 | 끝 안 보이는 성별임금격차] ②'육아·가사 노동', 왜 여성의 몫?
https://www.newsclaim.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5302

🟣토론회 현장 & 자료집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182

#성별임금격차 #돌봄노동재평가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의 모든 것
linktr.ee/politicalmamas
[10.29 국제돌봄의 날 기념] 제대로 된 돌봄을 요구하는 돌봄시민 행진

*정치하는엄마들은 〈10.29 돌봄의 날 조직위원회〉에 함께 하고 있습니다.


🌟 일시 | 2024. 11. 2. 토요일 오후 2시
🌟 장소 | 종로 보신각(행진코스 : 보신각 -> 서울시청 -> 보신각)

🔹어린이·청소년 동반 행진 환영합니다.
🔹수유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요구안 살펴보기

가. 돌봄 중심 사회로의 전환
나. 국가가 책임지는 돌봄 공공성 확보
다. 돌봄노동 가치 재평가 및 처우개선
라. 돌봄권리 보장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336

#돌봄 #돌봄공공성강화 #국가책임돌봄 #돌봄의날_기획단 #국제돌봄의날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의 모든 것
linktr.ee/politicalmamas
[10.29 국제돌봄의 날 기념] 제대로 된 돌봄을 요구하는 돌봄시민 행진

🔸정치하는엄마들은 본 집회에 참여하여 수유실을 설치하였습니다.

11월 2일 14시 보신각에서 [10.29 국제돌봄의 날 기념] 제대로 된 돌봄을 요구하는 돌봄시민 행진에 정치하는엄마들도 함께 참여하였습니다. 행진에서 발언한 최서연활동가 발언을 나눕니다.

"안녕하세요,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 최서연입니다.

저는 일반 보육기관에서 아이들을 돌보지 않는 휴일인 지금 남편에게 모든 것을 맡기고 이 자리에 나와 있습니다. 돌봄의 공공성 강화, 나아가 돌봄사회로의 전환에 한 목소리라도 보태고 싶어서입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돌봄을 주로 여성들의 의무로 간주해 왔고, 또한 돌봄을 비롯한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의 업무의 금전적 가치를 '봉사'라는 미명 하에 저평가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노동시간을 단축시키지는 못할망정 연장하는 퇴행적 정책 방향은 노동자 개인의 돌봄시간을 빼앗고, 나아가 과로로 인한 돌연사 위험을 높여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입니다.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지를 위해 경영이 방만하고 공공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내세운 사람들은 정책을 다룰 자격조차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과 같은 저임금에 노동착취에 가까운 근무 환경을 그나마 정상화시키고 공공성을 강화해 보려는 모델이 되는 조직을 해산시키는 데 정치적 의도 말고 도대체 무엇이 있겠습니까.

스웨덴, 독일, 네덜란드는 ‘돌봄 임금 프리미엄’을 통해 저평가된 돌봄노동의 가치를 높이고자 노력하는데, 우리는 이미 저평가되어 있는 돌봄노동의 가치를 바닥으로 끌어내리고 있습니다. 이주노동자들을 낮은 가격에 활용하겠다는 발상은 부유층이 하인을 부리던 시대의 전근대적인 불평등한 가치관을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인간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존중마저 망각한 것입니다.

우리가 이렇게 복지국가의 반대 방향으로 가는 사이에 결국 양극화는 극심해지고 서민들은 고통에 신음하고 있습니다. 요즘 저와 제 주변의 많은 가정들은 맞벌이를 해도 늘 가계가 적자가 되는 것은 아닌지 노심초사하며 앞으로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할지 걱정해야 하는 불안한 심정으로 하루하루를 살아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와 정치권은 권력을 위한 정쟁에 매몰되어 정작 가장 중요한 국민들의 삶과 직결된 중요한 일들은 외면하고 방치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주인이고, 정부와 정치권은 대리인입니다. 주인을 망하게 하는 대리인은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반드시 각성해야 합니다.

주말에 아이들을 돌보며 가족과 사랑을 나눠야 할 시간에, 이렇게 거리에 나와야만 하는 여러분과 저의 노력과 관심이 헛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앞으로 더 나은 돌봄사회가 되는 그날까지 우리 힘을 냅시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339

#돌봄 #돌봄공공성강화 #국가책임돌봄 #돌봄의날_기획단 #국제돌봄의날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의 모든 것
linktr.ee/politicalmamas
[간담회] 소아 진료 대란 및 필수약 품절 문제해소방안

■일시: 2025년 1월 22일(수) 10시 30분
■장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회의실(국회 본청 2층)

■생중계: 유튜브 김윤TV

■주최: 더불어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

최근 독감 대유행 등으로 소아과 오픈런, 야간휴일 어린이병원 무한대기 등 소아진료대란이 반복되고 있고, 감염병 치료에 필수적인 항바이러스제, 콧물약 등 소아 의약품 수급불안 사태로 인해 ‘약국 뺑뺑이’까지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소아 진료의 위기의 근원에 대한 제대로 된 진단 없이 겉으로 드러난 문제만 손쉽게 해결하려는 땜질식 처방만 반복해왔습니다.

소아 진료 대란과 필수약 품절 현황 및 문제를 살펴보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간담회에 최서연 활동가 패널로 참석할 예정입니다.

❍ 패널
- 최용재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舊 대한아동병원협회) 회장
- 임병찬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총무이사
- 민필기 대한약사회 부회장
- 현준재 한국의약품유통협회 부회장
- 최서연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 권혜영 목원대 보건의료관리학 교수

❍ 민생경제회복단 소속 국회의원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516

#소아진료대란 #소아의료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
"‘소아과 오픈런’ 여전…정부 소아의료전달체계 대안 부재"

‘소아진료대란 및 소아 필수약 품절 문제 해소방안’ 논의
더불어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 제5차 현장간담회


💡[한의신문 |기자 강현구]
https://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61311

더불어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단장 허영)은 22일 ‘소아진료대란 및 소아 필수약 품절 문제 해소방안’을 주제로 제5차 현장간담회를 개최, 소아 보호자·의료계·약계·의약품 유통계를 통해 소아진료대란 현장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소방안 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최서연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는 “만 3세 쌍둥이 중 첫째가 고열이 나기 시작, ‘똑닥앱’은 접수 시작과 동시에 마감되기에 현장접수 대기를 위해 새벽 6시 첫차를 타고, 병원에 도착해 한두 시간을 서서 기다려야 했다”면서 “이후 의사가 폐렴기가 있다며 약을 처방했으나 집에 와 보니 평소 함께 처방받던 약이 품절이라는 이유로 사전 안내 없이 처방해주지 않아 불안했었다”고 토로했다.

최 대표는 이어 “지역에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있는 응급병원은 폐과 상태였으며, 지역 유일 달빛어린이병원인 C의원은 과잉의료를, D어린이병원은 열흘 동안 아이에게 흰죽만 먹이면서 일체 금식을 시켜 히스테리증상을 보이는 등 여러 문제가 존재했었다”면서 정부에 △소아과 폐과 대책 마련 △달빛어린이병원 검토 및 확대 방안 △의료계 구조조정 △중장기적 공공의료 확충 방안 마련을 요청했다.

#소아의료 #정치하는엄마들 #최서연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