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부를 왜 하느냐, 그거 다 떼이는 거 아니냐' 그렇게 말하는 친구들도 있는데, 그럼에도 꿋꿋하게 자랑을 많이 하는 이유는 저처럼 기부하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 많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서죠.❞
#월간참여사회 100번째 #회원인터뷰
부산에 계신 4인가족 회원을 만났어요
이들 가족이 참여연대를 후원한 기간만 도합 38년, 가입 당시 "약자에 대한 시스템을 보완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봤기 때문에 몇 푼 안 되는 돈이지만 시민단체에 더 힘을 싣자는 생각이 강했"고 지금도 그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한 지붕 회원 넷💖 이현주·강필원·강민석·강예윤 가족회원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naver.me/51gqwiwB
_
참여연대는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변화의 시작은 나로부터
#월간참여사회 100번째 #회원인터뷰
부산에 계신 4인가족 회원을 만났어요
이들 가족이 참여연대를 후원한 기간만 도합 38년, 가입 당시 "약자에 대한 시스템을 보완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봤기 때문에 몇 푼 안 되는 돈이지만 시민단체에 더 힘을 싣자는 생각이 강했"고 지금도 그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한 지붕 회원 넷💖 이현주·강필원·강민석·강예윤 가족회원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naver.me/51gqwiwB
_
참여연대는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변화의 시작은 나로부터
<월간참여사회>11월호(300호) 발행!🙌
1995년 5월 창간 이래, 27년간 참여연대 회원소식지이자 시민사회 공론장으로서 역할을 자임해온 <월간 참여사회>가 통권 300호를 맞았습니다.
앞으로도 기록의 힘을 믿으며, 사회적 약자에게 먼저 지면을 내어주고, 보다 실체적 진실에 다가서기 위해 회원·시민들과 소통하겠습니다.
📍300호 특별기획
- 1995년생 독자와의 특별한 화보촬영
- 4人4色 참여사회 활용법
- [PLAYLIST] ODE TO MY MAGAZINE
📍Interview 박정진 <참여사회> 표지 디자이너
“프레임을 자유롭게 옮겨 다니다”
📍Issue 우리 시대의 언어들
- 문해력 논란과 비판적 읽기의 중요성 / 신지영
- 우리에게 여전히 공론장이 필요한 이유 / 전성원
- 편 가르기의 언어 / 김만권
#월간참여사회_300호보기 ▶️https://bit.ly/3tbBZdb
표지디자인 @framewalk
1995년 5월 창간 이래, 27년간 참여연대 회원소식지이자 시민사회 공론장으로서 역할을 자임해온 <월간 참여사회>가 통권 300호를 맞았습니다.
앞으로도 기록의 힘을 믿으며, 사회적 약자에게 먼저 지면을 내어주고, 보다 실체적 진실에 다가서기 위해 회원·시민들과 소통하겠습니다.
📍300호 특별기획
- 1995년생 독자와의 특별한 화보촬영
- 4人4色 참여사회 활용법
- [PLAYLIST] ODE TO MY MAGAZINE
📍Interview 박정진 <참여사회> 표지 디자이너
“프레임을 자유롭게 옮겨 다니다”
📍Issue 우리 시대의 언어들
- 문해력 논란과 비판적 읽기의 중요성 / 신지영
- 우리에게 여전히 공론장이 필요한 이유 / 전성원
- 편 가르기의 언어 / 김만권
#월간참여사회_300호보기 ▶️https://bit.ly/3tbBZdb
표지디자인 @framewalk
👍1
#월간참여사회_12월호발행(통권 301호)
"...촛불의 나날을 보낸 사람으로서 이 글을 쓰고 있다는 점을 밝힙니다. 십 대부터 들은 몸서리치는 속보들에 날카로워진 시선과 아직도 싸우고 있다는 한탄이 글자가 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저는 그곳에 다시 가서 마이크를 잡았어요. 대형 인재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믿음이 깨져서 더는 입 닫고 애도할 수 없었습니다..."
- '우리는 무사히 삼십 대 생일을 축하할 수 있을까?' 중
📍12월호 보기 ▶️http://bit.ly/3gZ0RT3
#ISSUE 이 참사를 응시하라
/ 어떤 일도 하루 아침에 우연히 일어나지 않는다 편집팀
/ 우리는 무사히 삼십 대 생일을 축하할 수 있을까? 신유진
/ ‘피해자 권리’로 참사 바라보기 유해정
/ 저들이 뻔뻔하고 졸렬할 수 있는 이유 박권일
#INTERVIEW 박수진의 줌인
/ “저는 그냥 하루치씩만 해요” – 김윤영 빈곤사회연대 활동가
#더_읽을거리
[칼럼] 10만 년 갈 핵쓰레기 대책 없이 ‘녹색’에 포함된 원전 최원형
[인포그래pick] ‘혐오’로 돈 버는 유튜버, 방치하는 유튜브 이연주
표지디자인 @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이태원참사 #윤석열 #안전사회
"...촛불의 나날을 보낸 사람으로서 이 글을 쓰고 있다는 점을 밝힙니다. 십 대부터 들은 몸서리치는 속보들에 날카로워진 시선과 아직도 싸우고 있다는 한탄이 글자가 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저는 그곳에 다시 가서 마이크를 잡았어요. 대형 인재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믿음이 깨져서 더는 입 닫고 애도할 수 없었습니다..."
- '우리는 무사히 삼십 대 생일을 축하할 수 있을까?' 중
📍12월호 보기 ▶️http://bit.ly/3gZ0RT3
#ISSUE 이 참사를 응시하라
/ 어떤 일도 하루 아침에 우연히 일어나지 않는다 편집팀
/ 우리는 무사히 삼십 대 생일을 축하할 수 있을까? 신유진
/ ‘피해자 권리’로 참사 바라보기 유해정
/ 저들이 뻔뻔하고 졸렬할 수 있는 이유 박권일
#INTERVIEW 박수진의 줌인
/ “저는 그냥 하루치씩만 해요” – 김윤영 빈곤사회연대 활동가
#더_읽을거리
[칼럼] 10만 년 갈 핵쓰레기 대책 없이 ‘녹색’에 포함된 원전 최원형
[인포그래pick] ‘혐오’로 돈 버는 유튜버, 방치하는 유튜브 이연주
표지디자인 @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이태원참사 #윤석열 #안전사회
#월간참여사회_통권302호발행(2023년 1-2월 합본호)
"특히 우리는 다음과 같은 민감한 주제에 물음을 제기해볼 필요가 있다. 적폐청산이 과연 오늘날 타당한 정치적 구호가 될 수 있는가?"
📍1-2월호 보기▶ http://bit.ly/3Gm2XFw
#ISSUE 좋은 나라, 좋은 시민
‘적폐청산’ 담론을 넘어|한상원
나의 불복종을 넘어 집합적 불복종 네트워크로|홍명교
취약함이 우리를 구할거야|김정희원
#Interview
‘불법 투쟁’이 만들려는 ‘안전한 세상’ - 박연수 화물연대 정책기획실장|김도연
#더_읽을거리
[칼럼] 야생의 꽃에서 대도시의 고층빌딩까지|이라영
[활동가의 책장]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김건우
표지디자인 @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새해 #시민 #불복종 #돌봄 #적폐청산
"특히 우리는 다음과 같은 민감한 주제에 물음을 제기해볼 필요가 있다. 적폐청산이 과연 오늘날 타당한 정치적 구호가 될 수 있는가?"
📍1-2월호 보기▶ http://bit.ly/3Gm2XFw
#ISSUE 좋은 나라, 좋은 시민
‘적폐청산’ 담론을 넘어|한상원
나의 불복종을 넘어 집합적 불복종 네트워크로|홍명교
취약함이 우리를 구할거야|김정희원
#Interview
‘불법 투쟁’이 만들려는 ‘안전한 세상’ - 박연수 화물연대 정책기획실장|김도연
#더_읽을거리
[칼럼] 야생의 꽃에서 대도시의 고층빌딩까지|이라영
[활동가의 책장]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김건우
표지디자인 @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새해 #시민 #불복종 #돌봄 #적폐청산
#월간참여사회_통권303호발행(2023년 3월호)
"한국에서 난방비 대란에 대한 공방만이 오갈 때, 우리와 비슷하거나 혹은 더 심각하게 러-우 전쟁의 타격을 입은 국가들은 어떻게 대응했을까.”
📍3월호 보기 ▶️ bit.ly/3J8LjaV
#ISSUE 정의로운 고지서
• 대중교통 요금정책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가|이영수
• 난방요금이 아니라 에너지 체계가 문제다|김혜미
• 누구를 위한 재정건전성인가?|이상민
#INTERVIEW
• “서울요? 30대가 지나면 나가라고 하는 도시”– 최지수 일러스트레이터
• 축구해설가가 보는 참여연대의 포지션은– 박문성 회원
#더_읽을거리
• [칼럼] 행복은 왜 오래가지 않을까|최원형
• [활동가의 책장] 다큐의 기술|안소영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9유로티켓 #난방비 #공공성 #재정건전성
"한국에서 난방비 대란에 대한 공방만이 오갈 때, 우리와 비슷하거나 혹은 더 심각하게 러-우 전쟁의 타격을 입은 국가들은 어떻게 대응했을까.”
📍3월호 보기 ▶️ bit.ly/3J8LjaV
#ISSUE 정의로운 고지서
• 대중교통 요금정책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가|이영수
• 난방요금이 아니라 에너지 체계가 문제다|김혜미
• 누구를 위한 재정건전성인가?|이상민
#INTERVIEW
• “서울요? 30대가 지나면 나가라고 하는 도시”– 최지수 일러스트레이터
• 축구해설가가 보는 참여연대의 포지션은– 박문성 회원
#더_읽을거리
• [칼럼] 행복은 왜 오래가지 않을까|최원형
• [활동가의 책장] 다큐의 기술|안소영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9유로티켓 #난방비 #공공성 #재정건전성
참여연대
[목차] 참여사회 2023년 3월호 (통권 303호) - 참여연대 - 월간참여사회
2023.3통권 303호 여는글 공감의 텃밭에서 공공성은 자란다 법인 스님 Issue 정의로운 고지서대중교통 요금정책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가 이영수 난방요금이 아니라 에너지 체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