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뉴스 ; 정치하는엄마들 NEWS
183 subscribers
3.37K photos
43 videos
33 files
4.17K links
Download Telegram
[공유] 유·보통합 문제와 해법은?

한국교육 대전환 이렇게 가능하다!
김태정&유성상의 Live Talk

■일시: 12월 22일 (수) 밤 9시
■유튜브채널 : 마을교육공동체 TV

어떻게 하면 교육이 부의 재생산의 도구나, 가난의 대물림의 사슬이 되지 않을까요? 어떻게 하면 학벌로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만들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헌법 31조에 있는 교육받을 권리를 실현할 수 있을까요?

첫번째 토크의 주제는 유보통합입니다. 최근 한 대선 후보가 유보통합을 언급했습니다. 낯선 분들도 있겠지만 유아교육진영에서는 오랫동안 요구한 것이기도 합니다. 인간발달에서 영유아기의 중요성은 잘 알려져 있으나, 한국사회는 유아교육의 공공성이 매우 취약합니다.

유보통합이 대체 뭘까요? 유보통합 어떻게 가능할까요?
전문가들을 모시고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실시간 댓글로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22일 수요일 저녁 9시 유투브 마을교육공동체 tv에서 들어오셔서 함께 이야기 나눠주세요.

토론자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정책위원장 김태정
-서울대 교육학 교수 유성상
-유아교육공교육체제실현을 위한 범국민연대 사무국장 김영연
-숙명여대 교수 정선아

#유보통합 #유보육팀 #김영연언니 #아동을위한유보통합
[공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유치원-어린이집 통합' 공약 내놔.. 유보통합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떻게?

[KBS1라디오/정용실의 뉴스브런치]
https://www.youtube.com/watch?v=_kjz8vrmlH0 (2021. 12. 14)

어린이집? 유치원? 어디 가야하지? 뭐가 더 좋은걸까? 그런데 왜 이리 복잡해?

대선후보들의 유보통합 무엇을 중점적으로 봐야할지 정치하는엄마들 조성실 전 공동대표와 함께 살펴봅니다.

#유보통합 #유치원어린이집통합 #아동을위한유보통합 #정치하는엄마들 #조성실활동가
유치원·어린이집 격차 '천차만별'...교사 자격 차이 등 원인

[동양일보/기자 신서희]


실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격차 중 급식지원금 차이는 심각하다.

2019년 정치하는 엄마들에서 조사한 지자체별 어린이집 급간식비 지원금에 따르면 전국 243개 지자체의 지원금 격차가 매우 커서 지원이 없는 어린이집은 단돈 1745원으로 점심과 간식을 해결했다.

급간식비 지원금이 1000원 넘는 지자체는 전국적으로 5곳 뿐 이며 전국에서 지원금이 가장 높은 충북 괴산군(1190원)의 경우 지원금 포함 하루 급간식비가 2935원으로 국공립유치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하지만 어린이집과 유치원만의 차이는 아니었다. 공공기관 직장어린이집과 일반 어린이집의 차이도 컸다.

전국 300여개 공공기관 직장어린이집 급간식비 전수조사에서 1위는 서울시청직장어린이집으로 하루 급간식비가 6391원이었다. 이는 보건복지부 기준의 3.7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2~5위는 광주 서구청 5000원, 서울 종로구청 4940원, 서울 중구청 4878원, 국방부 4848원 순이었고, 보건복지부 3862원, 대통령 비서실 3800원, 국회 3800원으로 집계 됐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7373

#어린이집 #유치원 #급간식비 #유보통합 #아동유보육기관격차 #정치하는엄마들
[유보통합활동공유]
'
유보통합' 약속한 대통령 후보가 먼저 고민해야 할 것은?
[베이비뉴스/정치하는엄마들 강미정]

🟣기고전문보기: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150

[대선마이크 특별기고] 13. 강미정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

교육 조건이 평등해진다 해도, 모든 아동이 나중에 공부를 잘할 수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애당초 공부라는 기준이 한 가지인 것이 문제이다. 유아·놀이 중심 누리과정을 기관 형태나 운영 주체에 상관없이 제대로 실현시키는 게 아동 중심의 유보통합이라고 본다. 유아기에 돌봄과 교육은 분리될 수 없고 이 시기는 놀이가 가장 중요한 교육이다. 교육과 돌봄이 나누어지는 순간 아이들의 놀이권은 학습으로 위협받을 것이 명약관화다.

누가 유보통합을 말하는가. 거기에 양육당사자가 있는가. 영유아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의 높은 교육열과 불안감에 의한 사교육비 지출 규모를 근거로 교육의 질 향상과 교육비 부담에 대한 확신을 주는 정책이면 환영할 것이라는 접근은 정책 주체를 수혜 대상으로서 관념적이고 납작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주장하는 집단 내에 정작 양육당사자가 없다는 증거다. 양육당사자를 우리 아이 뒤처지지 않기 위해 교육열에 목메는 표본 집단으로만 인식하면 오산이다.

#유보통합 #아동중심 #놀권리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강미정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