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하는엄마들, 장애 차별보도 언론사 신문윤리위 심의요청
| 용인 장애아동 학대 사건 차별적 보도한 언론사 22곳 신문윤리위, 12곳 인터넷신문윤리위 각각 심의요청
| 아동학대처벌법 고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등 장애차별 언론보도에 대대적 문제제기
[미디어오늘 | 장슬기 기자]
남궁수진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활동가는 “서약사들이 자체 윤리강령이나 심의 규정을 무시하고 있는데도 신문윤리위와 인터넷신문윤리위는 넋 놓고 있다”며 “언론자율기구가 아니라 허수아비 같다”며 비판했다. 또 “각 언론자율기구 윤리강령에 따르면 ‘언론은 사회의 공기며 국민의 기본권으로 보호, 신장하기 위해 적극 노력한다’거나 ‘인터넷신문은 사회의 공적기구로서 보도의 사실성, 정확성, 균형성을 추구하고 선정보도를 지양한다’라고 선언하고 있지만, 실상은 특수교사가 안전하게 장애아동을 지도할 수 있는 노동환경이 보장되지 않는 교육제도의 문제에 초점을 두긴커녕 장애아동의 언행과 개인 간의 갈등만을 부각하고, 대중의 분노에 힘입어 모든 문제의 원인을 장애아동과 그 가족에게 돌리고, 장애 혐오를 부추기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기사 전문보기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441
🟣관련 보도자료 자세히 보기
www.politicalmamas.kr/post/3518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남궁수진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이 궁금하시다면?
http://linktr.ee/politicalmamas
| 용인 장애아동 학대 사건 차별적 보도한 언론사 22곳 신문윤리위, 12곳 인터넷신문윤리위 각각 심의요청
| 아동학대처벌법 고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등 장애차별 언론보도에 대대적 문제제기
[미디어오늘 | 장슬기 기자]
남궁수진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활동가는 “서약사들이 자체 윤리강령이나 심의 규정을 무시하고 있는데도 신문윤리위와 인터넷신문윤리위는 넋 놓고 있다”며 “언론자율기구가 아니라 허수아비 같다”며 비판했다. 또 “각 언론자율기구 윤리강령에 따르면 ‘언론은 사회의 공기며 국민의 기본권으로 보호, 신장하기 위해 적극 노력한다’거나 ‘인터넷신문은 사회의 공적기구로서 보도의 사실성, 정확성, 균형성을 추구하고 선정보도를 지양한다’라고 선언하고 있지만, 실상은 특수교사가 안전하게 장애아동을 지도할 수 있는 노동환경이 보장되지 않는 교육제도의 문제에 초점을 두긴커녕 장애아동의 언행과 개인 간의 갈등만을 부각하고, 대중의 분노에 힘입어 모든 문제의 원인을 장애아동과 그 가족에게 돌리고, 장애 혐오를 부추기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기사 전문보기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441
🟣관련 보도자료 자세히 보기
www.politicalmamas.kr/post/3518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남궁수진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이 궁금하시다면?
http://linktr.ee/politicalmamas
www.mediatoday.co.kr
정치하는엄마들, 장애 차별보도 언론사 신문윤리위 심의요청 - 미디어오늘
시민단체 정치하는엄마들이 장애 차별 보도한 언론사를 형사고발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넣은 가운데 이번에는 한국신문윤리위원회·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했다. 정치하는엄마들은 지난 30일 ...
[2023년 장애와 인권 현안 토론회]
장애인 혐오 진단과 대응
■ 일시 : 2023. 12. 21. (목) 14:00 ~ 17:30
■ 장소 : 이룸센터 누리홀 (국회의사당역)
■ 참가방법 : 사전 신청 없이 현장참가 또는 유튜브 실시간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8_jW_Ru4fak)
■ 주최 : 국가인권위원회, 보건복지부, 국회의원 김예지, 국회의원 장혜영, 국회의원 강성희, 국회의원 용혜인
■ 사회 :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차별조사1과 과장
<개회>
14:00 ~ 14:10 인사말
<1부 : 장애인 혐오, 현상 진단> 14:10 ~ 15:50
- 사회 : 강곤(인권기록센터 사이 기록활동가)
●미디어를 통해 본 장애인 혐오 : 노법래 교수(부경대 행정복지학부)
- 공공데이터, 미디어 분석을 통한 장애인 혐오 현상 진단
●장애인 혐오 현상 진단(피해 사례1) :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 대중교통 이용 등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장애인 혐오
-당사자 경험을 중심으로
●장애인 혐오 현상 진단(피해 사례2) : 남궁수진 활동가 (정치하는엄마들)*
- 교육, 고용 등 사회생활에서 경험하는 장애인 혐오
- 가족 및 관계자 경험을 중심으로
<2부 : 장애인 혐오, 원인 분석과 대응 방안> 16:00 ~ 17:30
- 사회 : 염형국(국가인권위원회 차별시정국 국장)
●능력주의와 혐오의 정치학 : 김만권 정치철학자 (경희대비교문화연구소)
- 능력주의, 우생학과 장애인 혐오 생성
- 역사, 사회, 정치에서 장애인 혐오 원인 분석과 대응방안
●장애혐오와 미디어 : 강미영 교수(숙명인문학연구소)
- 미디어의 생산과 소비구조에서의 장애 혐오 원인 분석
- 미디어에서의 장애 혐오 대응방안
●장애인 혐오 예방과 대응, 사회적 책임 : 조혜인 변호사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해외사례와 차별금지법 제정효과를 중심으로
#정치하는엄마들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혐오 #남궁수진활동가
장애인 혐오 진단과 대응
■ 일시 : 2023. 12. 21. (목) 14:00 ~ 17:30
■ 장소 : 이룸센터 누리홀 (국회의사당역)
■ 참가방법 : 사전 신청 없이 현장참가 또는 유튜브 실시간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8_jW_Ru4fak)
■ 주최 : 국가인권위원회, 보건복지부, 국회의원 김예지, 국회의원 장혜영, 국회의원 강성희, 국회의원 용혜인
■ 사회 :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차별조사1과 과장
<개회>
14:00 ~ 14:10 인사말
<1부 : 장애인 혐오, 현상 진단> 14:10 ~ 15:50
- 사회 : 강곤(인권기록센터 사이 기록활동가)
●미디어를 통해 본 장애인 혐오 : 노법래 교수(부경대 행정복지학부)
- 공공데이터, 미디어 분석을 통한 장애인 혐오 현상 진단
●장애인 혐오 현상 진단(피해 사례1) :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 대중교통 이용 등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장애인 혐오
-당사자 경험을 중심으로
●장애인 혐오 현상 진단(피해 사례2) : 남궁수진 활동가 (정치하는엄마들)*
- 교육, 고용 등 사회생활에서 경험하는 장애인 혐오
- 가족 및 관계자 경험을 중심으로
<2부 : 장애인 혐오, 원인 분석과 대응 방안> 16:00 ~ 17:30
- 사회 : 염형국(국가인권위원회 차별시정국 국장)
●능력주의와 혐오의 정치학 : 김만권 정치철학자 (경희대비교문화연구소)
- 능력주의, 우생학과 장애인 혐오 생성
- 역사, 사회, 정치에서 장애인 혐오 원인 분석과 대응방안
●장애혐오와 미디어 : 강미영 교수(숙명인문학연구소)
- 미디어의 생산과 소비구조에서의 장애 혐오 원인 분석
- 미디어에서의 장애 혐오 대응방안
●장애인 혐오 예방과 대응, 사회적 책임 : 조혜인 변호사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해외사례와 차별금지법 제정효과를 중심으로
#정치하는엄마들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혐오 #남궁수진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