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불안이 사교육 풍선효과로… 코로나 시대 ‘돌봄의 민낯’
[창간 10주년 특별기고 ‘육아의 미래’⑥]
이고은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2020년은 어떻게 기억될까. 한창 뛰어놀 나이에 학교 운동장 구경 한 번 못하고, 친구들과 수다를 떨거나 간식을 먹을 수도 없었던 시간. 선생님 대신 컴퓨터 모니터와 마주해야 하고, 국어와 수학은 물론 음악과 미술까지도 온라인으로 배워야 했던 날들.
감염병으로 전 세계가 동시에 멈춰버린 이 기괴하고 음울한 시기에 대해 훗날 어떻게 설명해주어야 할지, 어른이자 두 아이의 양육자로서 막막해지곤 한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8782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돌봄공백 #고용단절 #학력격차 #돌봄권 #이고은활동가
[창간 10주년 특별기고 ‘육아의 미래’⑥]
이고은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2020년은 어떻게 기억될까. 한창 뛰어놀 나이에 학교 운동장 구경 한 번 못하고, 친구들과 수다를 떨거나 간식을 먹을 수도 없었던 시간. 선생님 대신 컴퓨터 모니터와 마주해야 하고, 국어와 수학은 물론 음악과 미술까지도 온라인으로 배워야 했던 날들.
감염병으로 전 세계가 동시에 멈춰버린 이 기괴하고 음울한 시기에 대해 훗날 어떻게 설명해주어야 할지, 어른이자 두 아이의 양육자로서 막막해지곤 한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8782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돌봄공백 #고용단절 #학력격차 #돌봄권 #이고은활동가
Ibabynews
교육 불안이 사교육 풍선효과로… 코로나 시대 ‘돌봄의 민낯’ - 베이비뉴스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창간한 베이비뉴스가 올해로 창간 10주년을 맞았습니다. 아동과 양육자의 권리를 더 폭넓게 보장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미래를 설계해야 할까요. 각계의 전문가와 ...
교육부의 돌봄교실 떠넘기기, 학부모는 화가난다
[오마이뉴스/강미정활동가]
그간 법적 근거 없이 운영된 돌봄교실은 돌봄전담사의 불안정한 노동에 의지한 채 버텨왔다. 교사의 수업 이후 돌봄교실의 운영 시간이 "학교의 시간"으로 인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벌어진 갈등의 골이 깊다.
코로나로 이제는 공적 돌봄의 주체로 학교를 명시하는 데 주저함이 없어야 할 교육부는 교원단체의 입장만을 대변한 채 법안 발의를 취소하고 소관 떠넘기기에만 급급하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75120&CMPT_CD=SEARCH
#공적돌봄강화 #돌봄권 #돌봄공백 #돌봄교실 #온종일돌봄특별법반대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강미정활동가
[오마이뉴스/강미정활동가]
그간 법적 근거 없이 운영된 돌봄교실은 돌봄전담사의 불안정한 노동에 의지한 채 버텨왔다. 교사의 수업 이후 돌봄교실의 운영 시간이 "학교의 시간"으로 인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벌어진 갈등의 골이 깊다.
코로나로 이제는 공적 돌봄의 주체로 학교를 명시하는 데 주저함이 없어야 할 교육부는 교원단체의 입장만을 대변한 채 법안 발의를 취소하고 소관 떠넘기기에만 급급하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75120&CMPT_CD=SEARCH
#공적돌봄강화 #돌봄권 #돌봄공백 #돌봄교실 #온종일돌봄특별법반대 #정치하는엄마들 #모두가엄마다 #강미정활동가
오마이뉴스
교육부의 돌봄교실 떠넘기기, 학부모는 화가 난다
[주장] 초등생 엄마가 '온종일돌봄 특별법'을 반대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