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하마 ; 정치하는엄마들 NEWS
197 subscribers
4.3K photos
57 videos
33 files
4.8K links
Download Telegram
기후위기 보도, 담당 팀 넘어 뉴스룸국 차원 리더십 있어야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총평과 제언]

 ❝우리나라는 정치 뉴스가 너무 과잉 생산되고 과잉 소비된다고 생각한다. 정치 뉴스는 이미 온라인으로 다 소비가 되니까 지면에서라도 정치 뉴스의 비중을 줄여보는 시도를 해보면 어떨까 싶다. 끝으로 한겨레뿐만 아니라 모든 언론이 전문가 코멘트를 받아서 논조 구성에 활용하는데, 전문가 코멘트만큼이나 당사자들의 얘기도 균형 있게 다뤄주면 훨씬 좋은 기사가 될 거라고 생각한다.❞

- 송지현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12기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가 지난 24일 첫 회의를 열고 활동을 시작했다. 열린편집위원회는 한겨레신문사가 독자의 다양한 의견을 콘텐츠 제작에 반영하기 위해 2013년부터 운영해온 제도다.

열린편집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해 8명으로 구성된다. 권오성 기후솔루션 미디어팀장, 김지현 청년유니온 사무처장, 손종욱 아주대 학생(전 학보사 편집장), 송지현 ‘정치하는 엄마들’ 활동가, 장지연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경영기획실장, 진선미 언론인권센터 이사(노무사), 한겨레 주주·독자 온라인 커뮤니티 <한겨레:온>의 형광석 편집위원 등이 함께한다. 연령대별로는 60대 2명, 40~50대 3명, 20~30대 3명이며, 성별로는 여성 5명, 남성 3명이다.

📰 전문 보기
www.hani.co.kr/arti/society/media/1147104.html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 #송지현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요
www.socialfunch.org/politicalmamas
❝저출생 정책 충실히 분석…2030 등 당사자 목소리 더 담아야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저출생 보도’ 집중점검]

정당별 총선 공약 분석 등
다각적인 접근 돋보였지만
대부분 정부 통계기반 작성
MZ·돌봄·노동계 목소리 다뤄야
아이 낳기 힘든 사회구조적 문제
분석 넘어 공론장 만드는 역할을

ㅡ 저출생 문제에 대한 프레임을 좀 바꿀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저출생이라는 현상 자체가 아니라, 그동안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들이 쌓이고 쌓인 결과로서 저출생을 바라보는 그런 시각을 갖는 게 중요하다. 저출생 문제는 긴 노동시간과 노동의 질 등 노동과 직결돼 있다. 저출생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 모든 사회구조적 문제, 특히 노동 문제에 저출생과 관련된 관점을 담아서 보도하는 것이 어떨까 싶다. 그리고 정부 주도로는 좋은 대안이 나오기 어렵다. 여성, 노동, 돌봄 관련 시민단체 등 당사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많이 담아 줬으면 한다.

ㅡ 얼마 전에 초등학생이 교감 뺨을 때린 일이 있었는데, 모든 언론이 여과 없이 자극적으로 보도했다. 해당 학생 입장에선 굉장히 불평등한 지형이었다고 생각한다. 자기결정권이 없는 아동에 대해 보도를 할 때는 더욱 세심하게 다뤄줬으면 한다. 한겨레 기사에도 뺨 때리는 장면 사진이 포함돼 있는데 이제라도 사진은 좀 내리는 게 어떨까 싶다.

-송지현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 전문 보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151087.html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 #송지현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요
www.socialfunch.org/politicalmamas
한겨레신문사가 독자의 다양한 의견을 콘텐츠 제작에 반영하기 위해 운영하는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에서 스포츠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점검했습니다.

12기 열린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정치하는엄마들 송지현 활동가는 성평등을 내세웠지만 성차별이 여전했던 파리 올림픽의 결산 기사가 돋보였으며, 엘리트 체육을 넘어 동호회나 생활체육 등도 균형있게 다루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습니다. 더불어 학교 체육행사에서 남자는 축구, 여자는 피구 등 종목을 정해놓는 등 아직도 성별 고정관념이 작동하는 황당한 현실을 살펴 보도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 기사 전문 보러가기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스포츠 콘텐츠 집중점검] 파리올림픽 명암 짚은 차별성 돋보여…탐사 보도도 나왔으면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156398.html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 #송지현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의 모든 것
linktr.ee/politicalmamas
한겨레신문사가 독자의 다양한 의견을 콘텐츠 제작에 반영하기 위해 운영하는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에서 국감 관련 보도를 집중적으로 점검했습니다.

12기 열린편집위원으로 함께하는 정치하는엄마들 송지현 활동가는 극심한 정쟁의 장이 되면서 묻힌 민생 이슈들 중에서도 의원실 자료를 토대로 발전시킨 '임금체불 리포트' 등 기획 기사들을 눈여겨보았습니다. 고르지 못한 기사 인용 자료 출처 활용에 대한 아쉬움도 전했습니다.

🔎 기사 전문 보러가기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국감 보도 집중 점검] ‘임금체불 리포트’ 현황·원인 분석 인상적…김건희 뺀 의제 소홀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165602.html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 #송지현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의 모든 것
linktr.ee/politicalmamas
한겨레신문사가 독자의 다양한 의견을 콘텐츠 제작에 반영하기 위해 운영하는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에서 국제 보도를 집중으로 점검했습니다.

12기 열린편집위원으로 함께하는 정치하는엄마들 송지현 활동가는 미국 대선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크다 보니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는 하지만 미국 대선에 너무 집중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다른 국제 이슈에 대한 조명이 좀 부족해진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고 전했습니다.

🔎 기사 전문 보러가기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국제 보도 집중 점검] ‘트럼프 당선’ 다각적 분석기사 눈길…비주요국에도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170130.html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 #송지현활동가
❝탄핵 표결 불참 의원 105명 기획 인상적❞ ❝윤석열 여론전 빠른 팩트체크 필요❞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12·3 내란 보도’ 집중점검]

탄핵 표결 불참 ‘국힘 105명’ 기획
‘비상계엄 비용’ 다룬 기사 와닿아
유튜브 정치 분석 콘텐츠에 눈길
영상으로 살핀 ‘뷰리핑’ 쉽고 친절

윤석열 일방 주장 검증없이 유포
실시간 팩트체크로 거짓 알려야

ㅡ6개월 전, 첫 회의 때 정치 뉴스가 과잉 생산되고 과잉 소비되는 것 같으니 지면에서라도 정치 뉴스를 줄여보자는 의견을 낸 적이 있다. 그런데 지금은 그 말을 철회하고 싶다. 이번 내란 사태를 보고 정치가 정말 중요하구나, 정치가 온 국민의 삶을 뒤흔들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언론이 감시견 역할을 더 잘 해주기를 당부드리고 싶다. 내란 사태 관련 보도에서는 12월7일치 특별판에 실린 ‘한겨레 그림판으로 본 윤석열 탄핵 이유’가 인상 깊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그동안 어떤 잘못을 저질러 왔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게 한 좋은 기획이었다. 온라인에도 올렸다면 링크 공유를 통해 더 많이 확산됐을 텐데, 지면에만 실린 게 아쉬웠다.

ㅡ ’정치하는엄마들’에서 명태균씨가 윤석열 대통령 부부와 통화할 때 이용한 휴대폰을 ’황금폰’이라고 써선 안 된다는 요청문을 각 언론사에 보낸 적이 있다. 황금폰은 성폭력 사건에서 비롯된 가해자의 언어다. 한겨레의 경우 본지 기사에는 없지만 ‘공덕포차’ 기사와 한겨레21 기사 일부에 아직 남아 있다.

송지현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 전문 보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179856.html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팀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 #송지현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