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하마 ; 정치하는엄마들 NEWS
223 subscribers
5.05K photos
78 videos
33 files
5.38K links
Download Telegram
🟣아동·청소년 섭식장애, 더는 외면할 수 없습니다 – 국가의 구조적 무책임에 맞서 목소리를 모아주세요

ㅡ최현숙 구술생애사 작가

https://youtube.com/shorts/7pv7RJ_sSr8?si=TX4hGWbmKHGll5mI

서명하기
https://bit.ly/섭식장애국가책임

❝저는 10대와 20대에 여자아이로서 겪는 억압과 심리적 허기, 깊은 혼돈과 방황과 함께 섭식장애를 앓았습니다. 일흔의 나이가 되어가는 지금도 당시의 섭식장애와 혼돈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충분히 해석되지 않고 있습니다. 수년 전부터 당사자들의 이야기들이 방송으로 책으로 나오기 시작하는 것을 보며 많이 기뻤습니다. 섭식장애로 인한 자괴감과 자기 비하가 어리고 젊은 시절의 저를 많이 힘들게 했지만 확실한 것 하나는 제 책임도 제 잘못도 아니었다는 점입니다. 당사자와 가족을 넘어 사회적 의제라는 것입니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공적의료와 공공돌봄 차원에서 국가적 대응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이를 실현하려면 당사자와 가족을 넘어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절실합니다. 첫 발돋움인 이 서명운동에 꼭 동참해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섭식장애 #국가책임촉구서명 #잠수함토끼콜렉티브 #최현숙 #구술생애사작가 #소아의료 #정치하는엄마들
[학생인권법과 청소년인권을 위한 청소년-시민전국행동]

학생폰금지 법? 이런 걸 만든다고?


2025년 7월, 국회 교육위원회를 통과한 법안 내용
▲ 학생은 수업 중 휴대전화 등 스마트기기를 사용해선 안 됨
▲ 학교장과 교원은 필요한 경우 스마트기기를 쓰거나 갖고 있는 걸 제한할 수 있음
→ 이 법이 제정되면 교장, 교사가 마음대로 학생의 휴대폰, 태블릿 등을 모두 금지하고, 수거하거나 압수할 수 있습니다.

이미 많은 초중고에서 휴대폰 제한이 있고, 과도한 규제에 인권침해 논란이 계속됐습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대부분의 학교에서 스마트기기를 금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업에 방해 안 되도록 학교에서 필요한 규칙을 정하거나, 함께 약속과 문화를 만드는 등 인권을 존중할 방법이 있음에도, 교장, 교사들이 쉬는 시간, 점심시간까지도 제한 없이 스마트기기를 금지하는 게 당연하게 될 것입니다.

이 법안에 대해 국회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공식적으로 청취하는 자리도 한번도 없었습니다. 만약 국회에서 “노동자는 근무 중 스마트기기를 사용해선 안 됨, 사장은 스마트기기를 금지할 수 있음”이라는 법을 만들면 큰 논란이 되지 않을까요?

학생의 인권을 지키기 위한 법안들은 국회에서 수년째 통과되지 못하고, 학생인권조례들은 폐지당하고 있습니다. 반면 학생의 폰을 금지하는 등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하는 법들은 너무나 쉽게 제정되고 있습니다.

청소년인권단체들은 ‘학생폰금지법’이 과도한 인권 침해를 조장할 우려가 있다고 반대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법이 국회에서 통과되더라도 이후 인권 침해에 대응하고, 학생인권법 제정 등으로 학생의 인권을 지킬 수 있는 길을 찾으려 합니다.

카드뉴스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908

보도자료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909

#학생인권법과청소년인권을위한청소년시민전국행동 #정치하는엄마들
가까스로 살아갈 미래

[주간경향 | 오늘을 생각한다]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여름마다 바닷물이 미지근하다. 40년 전, 30년 전, 20년 전 그리고 2015년 딸이 태어나기 직전의 제주 바다를 전부 기억하는 나에게 바닷물이 따뜻한 것은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바닷속 한가득 일렁이며, 어린 다리를 휘감던 무성한 해조숲은 벌써 사라졌다. 시커먼 현무암 바위 위에 짙푸른 해조숲이 펼쳐져 있고, 전복이며 소라며 어린 물살이가 우글우글 살아 숨 쉬던 풍경은 이제 기억 속에만 남았다. 엽상바닷말(다시마·미역 등 잎과 줄기가 구분되는 해조류)이 사라진 자리에 칙칙한 잿빛 물질(무절석회조류)이 바위에 들러붙어, 현(玄)무암은 회(灰)무암 꼴이 됐다. 사막이 된 바다, 이를 백화현상 또는 갯녹음현상이라 한다. 갯녹음의 원인은 크게 수온 상승과 환경 오염이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안은 최근 40년간(1971~2010) 수온이 1.14℃ 상승해 전 세계 평균에 비해 약 3배 이상의 상승 속도를 보인다. 지구온난화로 해수 온도가 급상승하고, 바다숲이 황폐화하고, 그린 카본(숲과 같은 육상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보다 탄소 포집 속도가 50배 빠른 블루 카본(해조류나 염습지 같은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이 급감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 여기 한국 바다에서.

타는 듯한 여름 태양 아래, 일손을 멈출 수 없는 어르신들을 보면 아찔하다. 고령인 농민들의 건강과 생존은 매일 위태롭다. 뉴노멀이 된 폭염과 폭우 앞에 애써 지은 농작물은 말라비틀어지고 떠내려간다. 목숨 걸고 지은 농사가 하루아침에 사라진다.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채솟값이 올라 힘들겠지만, 농촌 사람들에게 기후위기는 생명과 생계가 달린 생존의 문제다. 모든 재앙은 현재진행형이다. 2023년 9월 초등학교 2학년 딸과 함께 강원도 삼척에 갔다. 삼척블루파워 공사장 입구를 가로막던 기후 활동가들이 결국 연행되는 광경을 보며, 어린 딸의 눈에 어린 두려움과 슬픔도 보았다. 딸은 1년에 한두 번 학교에서 기후 수업을 듣는데, 물과 전기를 아껴 쓰고 일회용품을 쓰지 말라고 배웠다고 말한다. 그래서 더욱 나는 딸에게 현실을 숨길 수 없었다. 가정용 전기만 절약해서는 멸종할 테니까.

지난 6월 아일랜드가 유럽에서 6번째 탈석탄 국가(아일랜드·벨기에·오스트리아·스웨덴·에스토니아·포르투갈)가 됐다는 소식을 들었다. 스페인, 이탈리아(사르데냐섬 제외)도 올해 탈석탄 완료 예정이다. 반면 올해 초 가동된 삼척블루파워 2호기의 설비 수명은 30년, 2055년까지 가동할 수 있다. 왜 우리는 전 세계의 어린 생명을 위협하는 국가가 된 것일까? 신규 석탄발전소를 지으면서, 전기 절약을 가르치다니 한국 정부와 기성세대는 얼마나 저급한가?

황폐해진 바다에도 작은 생물들이 가까스로 살아가고 있다. 그들을 보면 전 세계 어린이들이 가까스로 살아갈 미래를 보는 듯하다. 내가 어린 시절에 보았던 울창한 바다숲을 열 살이 된 딸은 한 번도 보지 못했고, 영영 보지 못할 수도 있다. 지난 대선 직전 석탄발전소 지역 주민들과 발전 노동자들과 기후 활동가들과 양육자들이 함께 만든 탈석탄법이 성안됐다. 세대 간 정의·지역 간 정의를 회복하고 어린이도 노동자도 지역 주민도 누구도 희생되지 않는 정의로운 에너지전환을 담은 법이다. 국회와 정부는 ‘정의로운 탈석탄법’을 진지하게 신속히 검토하는 것에서 어린이들에 대한 속죄를 시작하기 바란다.

기사 전문
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24&art_id=202507251416001

#기후위기 #지구하마 #정치하는엄마들 #장하나활동가
🟣아동·청소년 섭식장애, 더는 외면할 수 없습니다 – 국가의 구조적 무책임에 맞서 목소리를 모아주세요

ㅡ안주란 심리상담사·인지행동치료사
https://youtube.com/shorts/ChIYkSs_1qo?si=Uftp7dipzjgUB7os


서명하기
https://bit.ly/섭식장애국가책임

❝안녕하세요. 식이장애 환자들과 식사치료, 심리치료를 하고 있는 안주란입니다. 현장에서 만나는 식이장애 환자들의 연령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고, 그러다 보니까 심각한 신체적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식이장애는 개인의 고통이기도 하고, 가정의 고통이기도 하고, 나아가서는 국가적 손실이 되기도 합니다. 회복을 위해서는 긴 치료 기간과 비용이 필요합니다. 국가가 이런 부분에 대해서 지원과 개입을 한다면 회복을 위해서 좀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여러분, 서명 운동에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섭식장애 #국가책임촉구서명 #잠수함토끼콜렉티브 #안주란 #심리상담사 #인지행동치료사 #소아의료 #정치하는엄마들
한겨레 21이 우크라이나 소설가 빅토리아 아멜리나의 유작 《여성과 전쟁》을 소개하며 찜한 새 책으로 《영원을 향하여》, 《내가 죽는 날》, 《왜의 쓸모》와 더불어 《노키즈존 한국 사회》를 꼽았습니다.

❝차 사고로 아이를 잃은 양육자가 더는 차 사고로 아이를 잃는 아픔을 겪지 않도록 한국 사회에 내어준 이름들이 있다. 민식이, 하준이…. 그 이름조차 ‘민식이법 놀이’ 같은 조롱과 혐오의 언어로 사용된다. 정치하는엄마들, 어린이책시민연대, 청소년인권단체 활동가인 저자들이 어린이·청소년 인권 존중 사회로 가는 방법을 제시하는 글을 모았다.❞

[한겨레21 기자 이재훈] 전문 읽기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7762.html

#노키즈존한국사회 #NoKidsZoneKOREA #투명가방끈 #따이루 #청소년인권연대지음 #이은선 #난다 #공현 #어린이책시민연대 #김용실 #김영미 #정치하는엄마들 #곽지현 #남궁수진 #백운희 #장하나
🟣아동·청소년 섭식장애, 더는 외면할 수 없습니다 – 국가의 구조적 무책임에 맞서 목소리를 모아주세요

ㅡ 임소연 과학기술학자

https://youtube.com/shorts/xqRWAr11cTw?si=4zA1ThgGN8Hi2KBm

서명하기
https://bit.ly/섭식장애국가책임

❝안녕하세요.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과 〈나는 어떻게 성형미인이 되었나〉를 쓴 과학기술학자 임소연입니다.

2018년 8,517명이었던 섭식장애 환자는 매년 증가해서 2022년 1만 2,714명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전체 진료 환자수는 5만 명이 넘었습니다. 이들 중 80%는 여성이었습니다. 특히 10대 이하 청소년들의 증가폭이 가장 컸다는 결과가 충격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5년 대한민국에 아동·청소년 섭식장애 전문 입원시설이 단 한 곳도 없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기관과 제도를 만들기 위해 숫자가 필요하다고 하지만 순서가 틀렸습니다. 숫자를 세기 위해서는 기관과 제도가 먼저 필요합니다. 지금이라도 섭식장애국가전략센터를 설립해서 섭식장애 실태를 조사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저는 섭식장애 당사자는 아니지만 성형당사자인 연구자로서 그리고 여성관점의 과학과 여성의 몸에 대한 과학을 지지하고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섭식장애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여성들, 특히 지금까지 방치되어 온 여성 청소년과 아동의 고통과 경험에 우리 사회가 더 큰 관심을 기울일 것을 요구하고자 합니다.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습니다. 당사자들과 전문가의 목소리를 들어주십시오. 그리고 여러분께서 이 요구에 동의하신다면 서명으로 함께 해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섭식장애 #국가책임촉구서명 #잠수함토끼콜렉티브 #신비롭지않은여자들 #과학기술학자 #임소연 #소아의료 #정치하는엄마들
경남도민일보에서 눈에 띄는 새 책으로 《내 손안의 AI 보좌관》, 《정말이지 제로웨이스트샵만큼은 할 생각이 없었다》와 더불어 《노키즈존 한국 사회》를 함께 소개했습니다.

정치하는엄마들, 어린이책 시민연대, 청소년 인권단체 등 활동가인 저자들이 각자의 경험과 활동을 통해 한국 사회의 어린이·청소년 혐오를 지적하고 비판하며, 문제의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를 짚는다. "우리 사회는 초등학생이 아닌 사람에 대해서도 예의가 없는 행동을 하는 등의 특징을 가진 사람들을 '초딩'이라고 부르며 무시한다. '초등학생'이 멸칭, 욕이 되는 셈이다. 예의를 지키지 않거나 소위 '진상'인 사람들의 언행을 무심코 '어린 사람'에 비유하는 것은 결국 어린이 청소년을 '부족하고 불완전하고 미성숙한 존재'로 여기는 사고방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경남도민일보 기자 이서후] 기사 전문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42997

#노키즈존한국사회 #NoKidsZoneKOREA #투명가방끈 #따이루 #청소년인권연대지음 #이은선 #난다 #공현 #어린이책시민연대 #김용실 #김영미 #정치하는엄마들 #곽지현 #남궁수진 #백운희 #장하나활동가
👍1
🟣아동·청소년 섭식장애, 더는 외면할 수 없습니다 – 국가의 구조적 무책임에 맞서 목소리를 모아주세요

ㅡ김윤아, 섭식장애상담사

https://youtube.com/shorts/YPabXL36Wuw?si=vaBr8cgWZVw2wMWT

서명하기
https://bit.ly/섭식장애국가책임

❝안녕하세요. 저는 2021년부터 양재동에서 나를 만나는 시간 심리상담센터를 운영하면서 섭식장애를 전문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김윤아입니다.

섭식장애 상담을 하다보면 가장 많이 듣는 말이 '치료기관이 너무 없다'라는 말인데요. 실제로 섭식장애를 전문으로 하는 병원도 상담기관도 많지 않을 뿐더러 섭식장애가 심각한 경우에는 입원치료가 필요함에도 이를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기관은 대한민국에 한 곳도 없습니다. 그래서 정말 도움이 필요한 분들은 여기저기 센터를 전전하다가 치료를 포기하게 되기도 하고 결국 그 모든 역할을 가족이 도맡게 되면서 부모님이 먼저 지치고 무너지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그마저도 경제적 정서적으로 여유가 있는 부모님들만 가능한 일이겠고요.

저는 섭식장애를 전문으로 상담을 하고 있지만 사실 혼자서 감당하기에는 매우 역부족입니다. 식사치료가 병행되어야 하고 지속적인 건강체크와 정신과 약물치료, 일상생활에 대한 꾸준한 개입까지 병행되어야 하지만 이 모든 것을 맡길 수 있는 시스템은 현재 존재하지 않습니다.

결국 치료자의 개인 역량과 책임에 모든 것이 달려있고 상담비가 그마저도 비싸기에 치료의 문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그래서 정말 도움도 많이 필요한 이들이 이 문턱을 넘지 못한 채 고통 속에 방치되어 있는데요. 이제는 국가가 사회가 나서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섭식장애를 겪은 당사자분들이 있다면 혹은 주변에서 그것을 겪은 분들이 있다면 사회적인 목소리를 내는 데 꼭 동참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섭식장애 #국가책임촉구서명 #잠수함토끼콜렉티브 #나를만나는시간 #섭식장애상담사 #김윤아 #소아의료 #정치하는엄마들
[스쿨미투] 지혜복 교사 부당해임 철회와 A학교 성폭력사안 온전한 해결을 위한 14차 집중집회

학교성폭력 공익제보자 지혜복 교사에 대한 서울시교육청의 부당전보·부당해임 무효, 형사고발 취하를 촉구합니다. 지혜복 교사가 A학교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함께 해주세요.

■ 일정: 8월 13일(수) 17:30

■ 장소: 서울시교육청 앞

■ 주최: A학교 성폭력사안·교과운영부조리 공익제보교사 부당전보철회를 위한 공대위

#스쿨미투 #METOO #WITHYOU #정치하는엄마들 #A학교성폭력사안교과운영부조리공익제보교사부당전보철회를위한공대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