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하마 소식] 🙅🏻♀️☢️⚫️
“기후위기는 핵으로 막을 수 없다!”
“핵발전 그린워싱 중단하라!”
10월 6일 오후 2시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환경부 주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원전 경제활동 포함 공청회> 현장에서 박민아·김정덕 활동가가 탈핵시민행동과 함께 피켓팅으로 원전의 그린워싱에 반대 의사를 표했습니다.
정치하는엄마들은 핵폐기물을 만들지 않고 탄소중립을 달성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영상|탈핵시민행동 피켓팅] https://youtu.be/CO-_SYIziyU?t=2339
■[영상|김정덕 활동가 발언] https://youtu.be/CO-_SYIziyU?t=7417
❗️2022년 10월 14일까지 녹색분류체계에 원전을 넣지 않도록 시민 누구나 환경부에 의견서를 낼 수 있습니다. 함께 해주세요.
○ 의견서 제출 안내 환경부 공고 참조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39&boardId=1550100&menuId=10524
○ (제출방법) 우편 또는 전자우편 제출
○ (의견제출) 2022. 10. 6.(목) ~ 2022. 10. 14.(금)
※ 붙임3, 마감일 내 도착분에 한함
○ (제출처) (전자우편) kis1578@keiti.re.kr
(우) 03367 서울시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투자지원실
○문의 :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과(044-201-6694) 또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투자지원실(02-2284-1967, 1971)
🟣의견제출서 서식 내려받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2542
#원전 #녹색분류체계 #핵발전그린워싱중단하라 #기후위기는핵으로막을수없다 #핵쓰레기 #핵폐기물 #해결하라 #후쿠시마참사 #체르노빌참사 #탈핵시민행동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박민아활동가 #김정덕활동가
“기후위기는 핵으로 막을 수 없다!”
“핵발전 그린워싱 중단하라!”
10월 6일 오후 2시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환경부 주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원전 경제활동 포함 공청회> 현장에서 박민아·김정덕 활동가가 탈핵시민행동과 함께 피켓팅으로 원전의 그린워싱에 반대 의사를 표했습니다.
정치하는엄마들은 핵폐기물을 만들지 않고 탄소중립을 달성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영상|탈핵시민행동 피켓팅] https://youtu.be/CO-_SYIziyU?t=2339
■[영상|김정덕 활동가 발언] https://youtu.be/CO-_SYIziyU?t=7417
❗️2022년 10월 14일까지 녹색분류체계에 원전을 넣지 않도록 시민 누구나 환경부에 의견서를 낼 수 있습니다. 함께 해주세요.
○ 의견서 제출 안내 환경부 공고 참조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39&boardId=1550100&menuId=10524
○ (제출방법) 우편 또는 전자우편 제출
○ (의견제출) 2022. 10. 6.(목) ~ 2022. 10. 14.(금)
※ 붙임3, 마감일 내 도착분에 한함
○ (제출처) (전자우편) kis1578@keiti.re.kr
(우) 03367 서울시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투자지원실
○문의 :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과(044-201-6694) 또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투자지원실(02-2284-1967, 1971)
🟣의견제출서 서식 내려받기
http://www.politicalmamas.kr/post/2542
#원전 #녹색분류체계 #핵발전그린워싱중단하라 #기후위기는핵으로막을수없다 #핵쓰레기 #핵폐기물 #해결하라 #후쿠시마참사 #체르노빌참사 #탈핵시민행동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박민아활동가 #김정덕활동가
원전 포함시킨 K택소노미에 "안전기준 EU수준으로 맞춰야"
[한국일보 | 기자 오지혜]
환경단체들은 원전을 친환경 경제활동에 포함시킨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은 "원전의 필요성은 에너지 공급, 수요 등을 논의해 결정해야 할 문제"라며 "택소노미에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을 못 느끼겠다"고 말했다. 김정덕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는 "핵폐기물을 만들지 않고 탄소중립을 달성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청회 도중 환경단체 활동가들은 '핵발전 그린워싱 중단하라' '녹색분류체계 그린워싱 중단하라' 등이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100616250004565
❗️2022년 10월 14일까지 녹색분류체계에 원전을 넣지 않도록 시민 누구나 환경부에 의견서를 낼 수 있습니다. 함께 해주세요.
○ 의견서 제출 안내 환경부 공고 참조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39&boardId=1550100&menuId=10524
#원전 #녹색분류체계 #핵발전그린워싱중단하라 #기후위기는핵으로막을수없다 #핵쓰레기 #탈핵시민행동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한국일보 | 기자 오지혜]
환경단체들은 원전을 친환경 경제활동에 포함시킨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은 "원전의 필요성은 에너지 공급, 수요 등을 논의해 결정해야 할 문제"라며 "택소노미에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을 못 느끼겠다"고 말했다. 김정덕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는 "핵폐기물을 만들지 않고 탄소중립을 달성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청회 도중 환경단체 활동가들은 '핵발전 그린워싱 중단하라' '녹색분류체계 그린워싱 중단하라' 등이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100616250004565
❗️2022년 10월 14일까지 녹색분류체계에 원전을 넣지 않도록 시민 누구나 환경부에 의견서를 낼 수 있습니다. 함께 해주세요.
○ 의견서 제출 안내 환경부 공고 참조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39&boardId=1550100&menuId=10524
#원전 #녹색분류체계 #핵발전그린워싱중단하라 #기후위기는핵으로막을수없다 #핵쓰레기 #탈핵시민행동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한국일보
원전 포함시킨 K택소노미에 "안전기준 EU수준으로 맞춰야"
환경부가 지난달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에 원자력발전을 포함시킨 수정안 초안을 공개한 이후 의견수렴을 위한 첫 공청회를 열었다. 수정안 공개 당시 유럽연합(EU)보다 대폭 완화된 폐기물 처리·안전 관련 기준을 제시해 논란이 됐었는데, 공청회 참석자들은 이 기준을 EU 수준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K택소
원전 포함 녹색분류체계 공청회···원자력계는 “보완 필요”, 시민사회는 “철회해야”
[경향신문 | 기자 강한들]
“기후위기는 핵으로 막을 수 없다”
“녹색분류체계 그린워싱 중단하라.”
강재열 한국원자력산업협회 부회장의 발제를 앞두고 시민들이 이런 피켓을 들고 항의에 나섰다. 김정덕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는 “이 땅의 생물과 생태는 우리가 빌려 쓰고 있다는 것을 자각했으면 좋겠다”며 “이 땅의 어린이들에게 우리가 뭘 남겨두는지 성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m.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202210061818001?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_share
❗️2022년 10월 14일까지 녹색분류체계에 원전을 넣지 않도록 시민 누구나 환경부에 의견서를 낼 수 있습니다. 함께 해주세요.
○ 의견서 제출 안내 환경부 공고 참조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39&boardId=1550100&menuId=10524
#원전 #녹색분류체계 #핵발전그린워싱중단하라 #기후위기는핵으로막을수없다 #핵쓰레기 #탈핵시민행동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경향신문 | 기자 강한들]
“기후위기는 핵으로 막을 수 없다”
“녹색분류체계 그린워싱 중단하라.”
강재열 한국원자력산업협회 부회장의 발제를 앞두고 시민들이 이런 피켓을 들고 항의에 나섰다. 김정덕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는 “이 땅의 생물과 생태는 우리가 빌려 쓰고 있다는 것을 자각했으면 좋겠다”며 “이 땅의 어린이들에게 우리가 뭘 남겨두는지 성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m.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202210061818001?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_share
❗️2022년 10월 14일까지 녹색분류체계에 원전을 넣지 않도록 시민 누구나 환경부에 의견서를 낼 수 있습니다. 함께 해주세요.
○ 의견서 제출 안내 환경부 공고 참조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39&boardId=1550100&menuId=10524
#원전 #녹색분류체계 #핵발전그린워싱중단하라 #기후위기는핵으로막을수없다 #핵쓰레기 #탈핵시민행동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m.khan.co.kr
원전 포함 녹색분류체계 공청회···원자력계는 “보완 필요”, 시민사회는 “철회해야”
“기후위기는 핵으로 막을 수 없다” “녹색분류체계 그린워싱 중단하라.” 강재열 한국원자력산업협...
오염수 안전하다는 이들을 경주 월성으로 데려가고 싶은 이유
[오마이뉴스 | 기고 오송이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두 아이의 양육자이자 탈핵신문에서 활동하고 있는 오송이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의 기고입니다.
'소금 사재기'가 끝났다면, 이제는 '진짜 범인' 핵발전소를 멈춰 세워야 할 때라고 하는 이유, 함께 읽고 공유해주세요.
•인체 피폭으로 귀결되는 방사성유출물
•경주 월성 이야기
•바다는 쓰레기통이 아니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omn.kr/250or
#핵발전소 #원전 #삼중수소 #방사성오염수 #방사능폐기물 #탈핵신문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지구하마 #오송이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이 궁금하시다면?
http://linktr.ee/politicalmamas
[오마이뉴스 | 기고 오송이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두 아이의 양육자이자 탈핵신문에서 활동하고 있는 오송이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의 기고입니다.
'소금 사재기'가 끝났다면, 이제는 '진짜 범인' 핵발전소를 멈춰 세워야 할 때라고 하는 이유, 함께 읽고 공유해주세요.
•인체 피폭으로 귀결되는 방사성유출물
•경주 월성 이야기
•바다는 쓰레기통이 아니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omn.kr/250or
#핵발전소 #원전 #삼중수소 #방사성오염수 #방사능폐기물 #탈핵신문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지구하마 #오송이활동가
🙋🏽♀️🤱🏼🤰🏼🏃🏽♀️👩🏽🦯🙎🏻♀️👩🏻🦽🧕🏼👨🏻🍼🙆🏻♀️
|정치하는엄마들이 궁금하시다면?
http://linktr.ee/politicalmamas
오마이뉴스
오염수 안전하다는 이들을 경주 월성으로 데려가고 싶은 이유
'소금 사재기'가 끝났다면, 이제는 '진짜 범인' 핵발전소를 멈춰 세워야 할 때
[지구하마] 탈핵시민행동
"기후정의에 역행하는 핵발전 확대, 김성환 후보자 발언 철회하라"
시민사회, 기자회견 열고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발언 규탄
7월 16일 탈핵시민행동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신규 원전 건설을 불가피하다”라 말하는 등 사실상 핵 발전을 옹호하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이를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이 자리에 정치하는엄마들 함께 하였습니다.
<기자회견문>
핵발전소 늘린다면 재생에너지 후퇴는 불가피
기후위기·에너지전환 시대에 걸맞는 인사가 필요하다
지난 윤석열 정권으로 인해 탈핵·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에너지정책은 심각하게 후퇴하였고,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골든타임을 허비했다. 그 기간 동안 환경부는 규제기관으로서의 책임을 저버리고, 각종 환경규제를 완화하며 개발부처의 하청부서로 전락했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핵발전을 포함하고 핵진흥으로 온실가스를 줄였다는 허위 홍보에 앞장서는 한편, 방사능 오염과 핵폐기물 처리방안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윤석열 정권이 망쳐놓은 기후·에너지 정책을 신속히 복원하고, 핵발전의 안전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빛의 혁명’으로 출범한 새 정부의 초대 환경부 장관은 윤석열 정부의 ‘원전 최강국 건설’ 시도로 퇴행한 기후와 환경을 회복하고, 더 높은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 목표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다시 설계해야 할 책무가 있다. 그런데, 환경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김성환 의원이 지난 15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신규 핵발전소 건설에 대해 “불가피하다”고 밝힌 것은 그 방향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그뿐 아니라 김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때는 후쿠시마 이슈로 핵발전소 설계 수명이 다 되면 중단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안전성이 담보되면 계속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입장"이라 발언하며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도 사실상 용인했다.
부지선정 조차 이뤄지지 않은 신규 핵발전소에 대해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은 사회적 합의와 공론화, 환경영향평가 등 필요한 정책 절차를 무시한 선제적 정당화일 뿐이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신규 핵발전소 2기가 명시되어있으니, 그대로 진행하겠다는 것은 ‘진짜 에너지전환’이 아니라 윤석열 정부의 핵진흥 정책을 따라가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또한 후쿠시마 핵사고의 교훈에 따라 핵발전소 설계수명을 초과하여 운영하지 않겠다는 안전문화를 무너뜨린 윤석열 정부의 모습을 고스란히 답습하는 발언 역시 매우 우려스럽다. 이는 핵발전의 안전과 방사능 누출 및 핵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감시하고 규제해야 할 환경부의 수장으로서도 대단히 무책임한 태도다.
핵발전 기업 두산 에너지빌리티 출신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후보자가 에너지 정책을 이끌겠다는 가운데, 환경부와 산업부의 역할을 융합하는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최우선 업무로 꼽은 김 후보자의 이런 발언은 ‘기후정부’를 자처한 이재명 정부가 강조한 재생에너지 중심사회로의 ‘전환’이 무엇인지 근본적으로 의심케한다. 한 명은 핵산업계의 이해를, 다른 한 명은 정책적 ‘불가피’를 내세우는 구조는, 기후위기 시대에 전환을 말하는 새 정부의 모습과는 너무도 거리가 멀다.
김성환 후보자가 말한 ‘문재인 정부보다는 덜, 윤석열 정부보다는 더’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핵발전과 믹스하겠다는 줄타기식 에너지정책은 문제적이다. 이는 현실적으로는 핵발전과 재생에너지가 양립하기 어렵다는 기술적 조건과 정책 자원 배분의 충돌을 은폐한 표현이다. 지금도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최하위이며, 호남에서는 재생에너지와 핵발전이 계통접속을 다투고 있다. 윤석열 정부동안 핵발전에 밀려 재생에너지 예산과 인프라가 꾸준히 축소되어 온 상황에서 신규 핵발전소 건설이 추진된다면, 재생에너지 후퇴야말로 불가피하다.
윤석열 정부는 ‘무탄소 전원’이라는 이름 아래 핵발전을 대폭 확대했지만, 그 결과는 핵폐기물 누적과 재생에너지 축소, 기후대응 지연, 지역 갈등의 심화였다. 이재명 정부가 ‘탈탄소 사회’라는 명분으로 이를 답습하는 순간, ‘진짜 에너지전환’은 말뿐인 선언에 그치게 된다. 지금 필요한 것은 핵발전이 아닌,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책임 있는 처리 계획, 기후정의에 입각한 에너지정책 방향 재정립, 그리고 급속한 재생에너지 확대와 분산형 전원체계 구축을 이끌 수 있는 정책 리더십이다. 김성환 후보자의 발언은 이런 시대적 과제에 부합하지 않으며, 기후·에너지전환 시대의 환경부 장관으로서 부적합하다. 우리는 김성환 후보자의 입장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며, 이재명 정부가 에너지정책의 일관성과 전환 원칙을 분명히 할 것을 촉구한다.
2025. 7. 16
종교환경회의, 탈핵시민행동
기자회견 생중계
https://www.youtube.com/live/Tv67vMHvlYU?si=HUuQsT5xmzMDMGIj
보도자료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868
"기후정의에 역행하는 핵발전 확대, 김성환 후보자 발언 철회하라"
시민사회, 기자회견 열고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발언 규탄
7월 16일 탈핵시민행동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신규 원전 건설을 불가피하다”라 말하는 등 사실상 핵 발전을 옹호하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이를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이 자리에 정치하는엄마들 함께 하였습니다.
<기자회견문>
핵발전소 늘린다면 재생에너지 후퇴는 불가피
기후위기·에너지전환 시대에 걸맞는 인사가 필요하다
지난 윤석열 정권으로 인해 탈핵·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에너지정책은 심각하게 후퇴하였고,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골든타임을 허비했다. 그 기간 동안 환경부는 규제기관으로서의 책임을 저버리고, 각종 환경규제를 완화하며 개발부처의 하청부서로 전락했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핵발전을 포함하고 핵진흥으로 온실가스를 줄였다는 허위 홍보에 앞장서는 한편, 방사능 오염과 핵폐기물 처리방안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윤석열 정권이 망쳐놓은 기후·에너지 정책을 신속히 복원하고, 핵발전의 안전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빛의 혁명’으로 출범한 새 정부의 초대 환경부 장관은 윤석열 정부의 ‘원전 최강국 건설’ 시도로 퇴행한 기후와 환경을 회복하고, 더 높은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 목표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다시 설계해야 할 책무가 있다. 그런데, 환경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김성환 의원이 지난 15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신규 핵발전소 건설에 대해 “불가피하다”고 밝힌 것은 그 방향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그뿐 아니라 김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때는 후쿠시마 이슈로 핵발전소 설계 수명이 다 되면 중단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안전성이 담보되면 계속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입장"이라 발언하며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도 사실상 용인했다.
부지선정 조차 이뤄지지 않은 신규 핵발전소에 대해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은 사회적 합의와 공론화, 환경영향평가 등 필요한 정책 절차를 무시한 선제적 정당화일 뿐이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신규 핵발전소 2기가 명시되어있으니, 그대로 진행하겠다는 것은 ‘진짜 에너지전환’이 아니라 윤석열 정부의 핵진흥 정책을 따라가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또한 후쿠시마 핵사고의 교훈에 따라 핵발전소 설계수명을 초과하여 운영하지 않겠다는 안전문화를 무너뜨린 윤석열 정부의 모습을 고스란히 답습하는 발언 역시 매우 우려스럽다. 이는 핵발전의 안전과 방사능 누출 및 핵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감시하고 규제해야 할 환경부의 수장으로서도 대단히 무책임한 태도다.
핵발전 기업 두산 에너지빌리티 출신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후보자가 에너지 정책을 이끌겠다는 가운데, 환경부와 산업부의 역할을 융합하는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최우선 업무로 꼽은 김 후보자의 이런 발언은 ‘기후정부’를 자처한 이재명 정부가 강조한 재생에너지 중심사회로의 ‘전환’이 무엇인지 근본적으로 의심케한다. 한 명은 핵산업계의 이해를, 다른 한 명은 정책적 ‘불가피’를 내세우는 구조는, 기후위기 시대에 전환을 말하는 새 정부의 모습과는 너무도 거리가 멀다.
김성환 후보자가 말한 ‘문재인 정부보다는 덜, 윤석열 정부보다는 더’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핵발전과 믹스하겠다는 줄타기식 에너지정책은 문제적이다. 이는 현실적으로는 핵발전과 재생에너지가 양립하기 어렵다는 기술적 조건과 정책 자원 배분의 충돌을 은폐한 표현이다. 지금도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최하위이며, 호남에서는 재생에너지와 핵발전이 계통접속을 다투고 있다. 윤석열 정부동안 핵발전에 밀려 재생에너지 예산과 인프라가 꾸준히 축소되어 온 상황에서 신규 핵발전소 건설이 추진된다면, 재생에너지 후퇴야말로 불가피하다.
윤석열 정부는 ‘무탄소 전원’이라는 이름 아래 핵발전을 대폭 확대했지만, 그 결과는 핵폐기물 누적과 재생에너지 축소, 기후대응 지연, 지역 갈등의 심화였다. 이재명 정부가 ‘탈탄소 사회’라는 명분으로 이를 답습하는 순간, ‘진짜 에너지전환’은 말뿐인 선언에 그치게 된다. 지금 필요한 것은 핵발전이 아닌,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책임 있는 처리 계획, 기후정의에 입각한 에너지정책 방향 재정립, 그리고 급속한 재생에너지 확대와 분산형 전원체계 구축을 이끌 수 있는 정책 리더십이다. 김성환 후보자의 발언은 이런 시대적 과제에 부합하지 않으며, 기후·에너지전환 시대의 환경부 장관으로서 부적합하다. 우리는 김성환 후보자의 입장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며, 이재명 정부가 에너지정책의 일관성과 전환 원칙을 분명히 할 것을 촉구한다.
2025. 7. 16
종교환경회의, 탈핵시민행동
기자회견 생중계
https://www.youtube.com/live/Tv67vMHvlYU?si=HUuQsT5xmzMDMGIj
보도자료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868
YouTube
[LIVE] 신규 원전 불가피?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규탄 기자회견
[LIVE] 신규 원전 불가피?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규탄 기자회견
“국민 공감이 필요합니다만 불가피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의 답변이었습니다😡
핵발전 계승은 이제 멈춰야 합니다.
▷ 일시: 2025년 7월 16일(수) 오후 2시
▷ 장소: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
▷ 주최: 종교환경회의, 탈핵시민행동
▷ 기자회견 발언 및 순서
● 발언 1 이상현 녹색당 공동대표
● 발언 2. 이헌석…
“국민 공감이 필요합니다만 불가피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의 답변이었습니다😡
핵발전 계승은 이제 멈춰야 합니다.
▷ 일시: 2025년 7월 16일(수) 오후 2시
▷ 장소: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
▷ 주최: 종교환경회의, 탈핵시민행동
▷ 기자회견 발언 및 순서
● 발언 1 이상현 녹색당 공동대표
● 발언 2. 이헌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