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회 2024년 5월호(vol.315)
가히 의료 대란의 시대입니다. '응급실 뺑뺑이'와 '소아과 오픈런', 최근 의-정 갈등까지. 이어지는 강 대 강 대치와 자극적인 보도 속에서 우리는 '골든 타임'을 놓치고 있는 걸지도 모릅니다. 이번 〈참여사회〉는 의료 대란의 진짜 원인을 찾아 나섭니다.
📍5월호 보기 ▶️ https://nuly.do/QPFw
#ISSUE 의료 대란의 진짜 원인을 찾아서
• ‘응급실 뺑뺑이’ 진짜 원인은? | 이서영
• 돌담병원은 왜 현실이 아닌 ‘낭만’일까 | 정백근
• 모든 길은 공공의료로 통한다 | 정형준
#INTERVIEW
• 어린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이지현 EBS PD | 장슬기
• 엄마랑 노란리본 묶으러 가자 – 김지선 회원 | 박효원
#더_읽을거리
• 우리 숲에 딱다구리가 살아요! | 최원형
• 우리는 안전하고 인권 친화적 인공지능을 원한다 | 이지은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의료대란 #어린이
가히 의료 대란의 시대입니다. '응급실 뺑뺑이'와 '소아과 오픈런', 최근 의-정 갈등까지. 이어지는 강 대 강 대치와 자극적인 보도 속에서 우리는 '골든 타임'을 놓치고 있는 걸지도 모릅니다. 이번 〈참여사회〉는 의료 대란의 진짜 원인을 찾아 나섭니다.
📍5월호 보기 ▶️ https://nuly.do/QPFw
#ISSUE 의료 대란의 진짜 원인을 찾아서
• ‘응급실 뺑뺑이’ 진짜 원인은? | 이서영
• 돌담병원은 왜 현실이 아닌 ‘낭만’일까 | 정백근
• 모든 길은 공공의료로 통한다 | 정형준
#INTERVIEW
• 어린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이지현 EBS PD | 장슬기
• 엄마랑 노란리본 묶으러 가자 – 김지선 회원 | 박효원
#더_읽을거리
• 우리 숲에 딱다구리가 살아요! | 최원형
• 우리는 안전하고 인권 친화적 인공지능을 원한다 | 이지은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의료대란 #어린이
참여사회 2024년 6월호(vol.316)
'약자와의 동행'을 슬로건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울시. 그들은 대체 누구와 동행하고 있는 걸까요? 명백한 퇴행과 역행의 시대. 6월호 〈월간참여사회〉가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원, 퀴어퍼레이드 서울광장 사용 불허 결정, 서울학생인권조례 폐지의 문제점을 짚었습니다.
📍6월호 보기 ▶️ https://pp21.org/f4r1F1
#ISSUE 서울시는 약자와의 동행 중?
•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원은 공공돌봄 포기 선언 | 주진우
• 우리가 서로의 해방감에 기대어 | 윤영우
• 인권은 폐지될 수 없다 | 전세란
#INTERVIEW
• 마지막 지식인 – 김동춘 사회학자 | 장슬기
• 잘못한 것 없는 당신, 조금만 더 버텨주세요 – 이철빈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 박효원
#더_읽을거리
• 리 밀러 : 카메라를 든 여자 | 이라영
• 공습과 기아로 파괴된 땅 | 이지원
표지디자인 @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서울시 #전세사기 #팔레스타인
'약자와의 동행'을 슬로건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울시. 그들은 대체 누구와 동행하고 있는 걸까요? 명백한 퇴행과 역행의 시대. 6월호 〈월간참여사회〉가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원, 퀴어퍼레이드 서울광장 사용 불허 결정, 서울학생인권조례 폐지의 문제점을 짚었습니다.
📍6월호 보기 ▶️ https://pp21.org/f4r1F1
#ISSUE 서울시는 약자와의 동행 중?
•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원은 공공돌봄 포기 선언 | 주진우
• 우리가 서로의 해방감에 기대어 | 윤영우
• 인권은 폐지될 수 없다 | 전세란
#INTERVIEW
• 마지막 지식인 – 김동춘 사회학자 | 장슬기
• 잘못한 것 없는 당신, 조금만 더 버텨주세요 – 이철빈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 박효원
#더_읽을거리
• 리 밀러 : 카메라를 든 여자 | 이라영
• 공습과 기아로 파괴된 땅 | 이지원
표지디자인 @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서울시 #전세사기 #팔레스타인
📚참여사회 2024년 7-8월호(vol.317)
이번 〈월간참여사회〉 7-8월호에서는 언론의 위기를 형성하는 다양한 원인들을 살펴봤습니다. 언론통제의 욕망을 비추는 권력, 권위와 품위를 잃은 언론, 이 위기를 관망하는 독자까지. 오늘날 언론의 위기는 누구의 책임일까요?
📍7-8월호 보기 ▶️https://pp21.org/S1O150
#ISSUE 누가 언론을 망치는가
• ‘좋은’ 언론 규제는 없다 | 심영섭
• 언론 불신, 그럼에도 불구하고 | 김동훈
•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 민노씨
#INTERVIEW
• 옷을 사지 않기로 했습니다 – 이소연 작가
• ‘첫 마음’으로 돌아오라 – 신영전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
#더_읽을거리
• 자전거의 가치 | 최원형
• 접경지역 주민 생명 위협하는 대북전단 | 이영아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언론 #제로웨이스트_의생활 #의료파행
이번 〈월간참여사회〉 7-8월호에서는 언론의 위기를 형성하는 다양한 원인들을 살펴봤습니다. 언론통제의 욕망을 비추는 권력, 권위와 품위를 잃은 언론, 이 위기를 관망하는 독자까지. 오늘날 언론의 위기는 누구의 책임일까요?
📍7-8월호 보기 ▶️https://pp21.org/S1O150
#ISSUE 누가 언론을 망치는가
• ‘좋은’ 언론 규제는 없다 | 심영섭
• 언론 불신, 그럼에도 불구하고 | 김동훈
•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 민노씨
#INTERVIEW
• 옷을 사지 않기로 했습니다 – 이소연 작가
• ‘첫 마음’으로 돌아오라 – 신영전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
#더_읽을거리
• 자전거의 가치 | 최원형
• 접경지역 주민 생명 위협하는 대북전단 | 이영아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언론 #제로웨이스트_의생활 #의료파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