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회 2024년 5월호(vol.315)
가히 의료 대란의 시대입니다. '응급실 뺑뺑이'와 '소아과 오픈런', 최근 의-정 갈등까지. 이어지는 강 대 강 대치와 자극적인 보도 속에서 우리는 '골든 타임'을 놓치고 있는 걸지도 모릅니다. 이번 〈참여사회〉는 의료 대란의 진짜 원인을 찾아 나섭니다.
📍5월호 보기 ▶️ https://nuly.do/QPFw
#ISSUE 의료 대란의 진짜 원인을 찾아서
• ‘응급실 뺑뺑이’ 진짜 원인은? | 이서영
• 돌담병원은 왜 현실이 아닌 ‘낭만’일까 | 정백근
• 모든 길은 공공의료로 통한다 | 정형준
#INTERVIEW
• 어린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이지현 EBS PD | 장슬기
• 엄마랑 노란리본 묶으러 가자 – 김지선 회원 | 박효원
#더_읽을거리
• 우리 숲에 딱다구리가 살아요! | 최원형
• 우리는 안전하고 인권 친화적 인공지능을 원한다 | 이지은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의료대란 #어린이
가히 의료 대란의 시대입니다. '응급실 뺑뺑이'와 '소아과 오픈런', 최근 의-정 갈등까지. 이어지는 강 대 강 대치와 자극적인 보도 속에서 우리는 '골든 타임'을 놓치고 있는 걸지도 모릅니다. 이번 〈참여사회〉는 의료 대란의 진짜 원인을 찾아 나섭니다.
📍5월호 보기 ▶️ https://nuly.do/QPFw
#ISSUE 의료 대란의 진짜 원인을 찾아서
• ‘응급실 뺑뺑이’ 진짜 원인은? | 이서영
• 돌담병원은 왜 현실이 아닌 ‘낭만’일까 | 정백근
• 모든 길은 공공의료로 통한다 | 정형준
#INTERVIEW
• 어린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이지현 EBS PD | 장슬기
• 엄마랑 노란리본 묶으러 가자 – 김지선 회원 | 박효원
#더_읽을거리
• 우리 숲에 딱다구리가 살아요! | 최원형
• 우리는 안전하고 인권 친화적 인공지능을 원한다 | 이지은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의료대란 #어린이
참여사회 2024년 6월호(vol.316)
'약자와의 동행'을 슬로건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울시. 그들은 대체 누구와 동행하고 있는 걸까요? 명백한 퇴행과 역행의 시대. 6월호 〈월간참여사회〉가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원, 퀴어퍼레이드 서울광장 사용 불허 결정, 서울학생인권조례 폐지의 문제점을 짚었습니다.
📍6월호 보기 ▶️ https://pp21.org/f4r1F1
#ISSUE 서울시는 약자와의 동행 중?
•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원은 공공돌봄 포기 선언 | 주진우
• 우리가 서로의 해방감에 기대어 | 윤영우
• 인권은 폐지될 수 없다 | 전세란
#INTERVIEW
• 마지막 지식인 – 김동춘 사회학자 | 장슬기
• 잘못한 것 없는 당신, 조금만 더 버텨주세요 – 이철빈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 박효원
#더_읽을거리
• 리 밀러 : 카메라를 든 여자 | 이라영
• 공습과 기아로 파괴된 땅 | 이지원
표지디자인 @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서울시 #전세사기 #팔레스타인
'약자와의 동행'을 슬로건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울시. 그들은 대체 누구와 동행하고 있는 걸까요? 명백한 퇴행과 역행의 시대. 6월호 〈월간참여사회〉가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원, 퀴어퍼레이드 서울광장 사용 불허 결정, 서울학생인권조례 폐지의 문제점을 짚었습니다.
📍6월호 보기 ▶️ https://pp21.org/f4r1F1
#ISSUE 서울시는 약자와의 동행 중?
•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원은 공공돌봄 포기 선언 | 주진우
• 우리가 서로의 해방감에 기대어 | 윤영우
• 인권은 폐지될 수 없다 | 전세란
#INTERVIEW
• 마지막 지식인 – 김동춘 사회학자 | 장슬기
• 잘못한 것 없는 당신, 조금만 더 버텨주세요 – 이철빈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 박효원
#더_읽을거리
• 리 밀러 : 카메라를 든 여자 | 이라영
• 공습과 기아로 파괴된 땅 | 이지원
표지디자인 @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서울시 #전세사기 #팔레스타인
📚참여사회 2024년 7-8월호(vol.317)
이번 〈월간참여사회〉 7-8월호에서는 언론의 위기를 형성하는 다양한 원인들을 살펴봤습니다. 언론통제의 욕망을 비추는 권력, 권위와 품위를 잃은 언론, 이 위기를 관망하는 독자까지. 오늘날 언론의 위기는 누구의 책임일까요?
📍7-8월호 보기 ▶️https://pp21.org/S1O150
#ISSUE 누가 언론을 망치는가
• ‘좋은’ 언론 규제는 없다 | 심영섭
• 언론 불신, 그럼에도 불구하고 | 김동훈
•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 민노씨
#INTERVIEW
• 옷을 사지 않기로 했습니다 – 이소연 작가
• ‘첫 마음’으로 돌아오라 – 신영전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
#더_읽을거리
• 자전거의 가치 | 최원형
• 접경지역 주민 생명 위협하는 대북전단 | 이영아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언론 #제로웨이스트_의생활 #의료파행
이번 〈월간참여사회〉 7-8월호에서는 언론의 위기를 형성하는 다양한 원인들을 살펴봤습니다. 언론통제의 욕망을 비추는 권력, 권위와 품위를 잃은 언론, 이 위기를 관망하는 독자까지. 오늘날 언론의 위기는 누구의 책임일까요?
📍7-8월호 보기 ▶️https://pp21.org/S1O150
#ISSUE 누가 언론을 망치는가
• ‘좋은’ 언론 규제는 없다 | 심영섭
• 언론 불신, 그럼에도 불구하고 | 김동훈
•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 민노씨
#INTERVIEW
• 옷을 사지 않기로 했습니다 – 이소연 작가
• ‘첫 마음’으로 돌아오라 – 신영전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
#더_읽을거리
• 자전거의 가치 | 최원형
• 접경지역 주민 생명 위협하는 대북전단 | 이영아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언론 #제로웨이스트_의생활 #의료파행
📚참여사회 2024년 10월호(vol.319)
혹시 '텍스트힙Text-hip'이라는 신조어를 아시나요? 글이나 읽을 것을 뜻하는 'Text'와 트렌디함을 의미하는 'hip'이 합쳐진 말인데요. 텍스트힙은 유행을 넘어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요? 이번 〈월간참여사회〉 10월호는 '텍스트힙' 현상을 파헤쳤습니다.
📍10월호 보기 ▶️https://pp21.org/fQlzOD
여는글
• 첫인사를 드립니다 | 박태근
Issue 텍스트힙이 뭔데?
• 텍스트힙이라는 농담 | 정선호
• 신조어에 가려진 것들 | 김헌식
• 텍스트힙, 트렌드를 넘어 문화가 될 수 있을까? | 표정훈
Interview 장슬기의 언더뷰
• 이것은 전쟁이 아닌 학살이다 – 살레 알란티시 팔레스타인 난민
• 춤추는 몸치가 세상을 바꾼다 – 김현주 회원
더 읽을거리
• 나의 세계를 지키는 적극적 고립 | 이라영
• [참여연대사전] 법조일원화 | 최보민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텍스트힙 #가자지구 #도시의노마드
혹시 '텍스트힙Text-hip'이라는 신조어를 아시나요? 글이나 읽을 것을 뜻하는 'Text'와 트렌디함을 의미하는 'hip'이 합쳐진 말인데요. 텍스트힙은 유행을 넘어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요? 이번 〈월간참여사회〉 10월호는 '텍스트힙' 현상을 파헤쳤습니다.
📍10월호 보기 ▶️https://pp21.org/fQlzOD
여는글
• 첫인사를 드립니다 | 박태근
Issue 텍스트힙이 뭔데?
• 텍스트힙이라는 농담 | 정선호
• 신조어에 가려진 것들 | 김헌식
• 텍스트힙, 트렌드를 넘어 문화가 될 수 있을까? | 표정훈
Interview 장슬기의 언더뷰
• 이것은 전쟁이 아닌 학살이다 – 살레 알란티시 팔레스타인 난민
• 춤추는 몸치가 세상을 바꾼다 – 김현주 회원
더 읽을거리
• 나의 세계를 지키는 적극적 고립 | 이라영
• [참여연대사전] 법조일원화 | 최보민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텍스트힙 #가자지구 #도시의노마드
📚참여사회 2024년 11월호(vol.320)
'텔레그램 딥페이크 성착취물 범죄'는 새로운 문제가 아닙니다. 구조적 성차별, 잘못된 남성 문화와 여성혐오와 타자화까지. 오래된 문제들과 무책임한 기술의 접목. 수년 전부터 경고됐던 문제입니다. 현장에서 이를 경고하고,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이번 〈월간참여사회〉 11월호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11월호 보기 ▶️ https://pp21.org/QigchH
여는글
• 11월이 온다 | 박태근
Issue 디지털 성폭력에 맞서기
• 기술도 유죄다 | 고아침
• 대한민국, 아동포르노에 관대한 국가 | 오지원
• 길은 찾으면 되고 광장은 만들면 된다 | 연대자 D
Interview 장슬기의 언더뷰
•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까_이미랑 '딸에 대하여' 감독
더 읽을거리
• [칼럼]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 | 최원형
• [활동가의 책장] 낙인찍힌 몸 | 장지희
표지디자인 @studio_framewalk
#월간참여사회 #디지털성폭력 #딸에대하여 #블랙프라이데이
'텔레그램 딥페이크 성착취물 범죄'는 새로운 문제가 아닙니다. 구조적 성차별, 잘못된 남성 문화와 여성혐오와 타자화까지. 오래된 문제들과 무책임한 기술의 접목. 수년 전부터 경고됐던 문제입니다. 현장에서 이를 경고하고,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이번 〈월간참여사회〉 11월호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11월호 보기 ▶️ https://pp21.org/QigchH
여는글
• 11월이 온다 | 박태근
Issue 디지털 성폭력에 맞서기
• 기술도 유죄다 | 고아침
• 대한민국, 아동포르노에 관대한 국가 | 오지원
• 길은 찾으면 되고 광장은 만들면 된다 | 연대자 D
Interview 장슬기의 언더뷰
•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까_이미랑 '딸에 대하여' 감독
더 읽을거리
• [칼럼]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 | 최원형
• [활동가의 책장] 낙인찍힌 몸 | 장지희
표지디자인 @studio_framewalk
#월간참여사회 #디지털성폭력 #딸에대하여 #블랙프라이데이
👍1
📚참여사회 2024년 12월호(vol.321)
탄핵은 대통령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이지만 동시에 정당 정치의 붕괴를 보여주는 방증입니다. 탄핵 시도가 빈번해지고, 모든 정치적 역량이 탄핵에만 집중되고 있는 건 비단 대한민국만의 현상은 아닙니다. '탄핵의 일상화'를 우리는 넘어설 수 있을까요?
📍12월호 보기 ▶️ https://pp21.org/RAghrx
여는글
• 연말을 마주하는 방법 | 박태근
Issue_탄핵을 넘어
• 탄핵을 성찰하다 | 이관후
• 대통령제에 내재된 탄핵 | 신철희
• 탄핵 이후의 정치 | 박상훈
Interview
• 도시를 수집하다_이경민 도시수집가
• 참여연대의 첫 얼굴, 첫 목소리_맹행일 회원
더 읽을거리
• 클라라 페테르스: 정물화 속에 숨겨둔 내 얼굴 | 이라영
• [참여연대사전] CI(연계정보) | 이지은
• [인포그래pick] 국민 혈세가 증발한다 | 김윤진
• [활동가의 책장] 채식주의자 | 르다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탄핵 #도시수집
탄핵은 대통령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이지만 동시에 정당 정치의 붕괴를 보여주는 방증입니다. 탄핵 시도가 빈번해지고, 모든 정치적 역량이 탄핵에만 집중되고 있는 건 비단 대한민국만의 현상은 아닙니다. '탄핵의 일상화'를 우리는 넘어설 수 있을까요?
📍12월호 보기 ▶️ https://pp21.org/RAghrx
여는글
• 연말을 마주하는 방법 | 박태근
Issue_탄핵을 넘어
• 탄핵을 성찰하다 | 이관후
• 대통령제에 내재된 탄핵 | 신철희
• 탄핵 이후의 정치 | 박상훈
Interview
• 도시를 수집하다_이경민 도시수집가
• 참여연대의 첫 얼굴, 첫 목소리_맹행일 회원
더 읽을거리
• 클라라 페테르스: 정물화 속에 숨겨둔 내 얼굴 | 이라영
• [참여연대사전] CI(연계정보) | 이지은
• [인포그래pick] 국민 혈세가 증발한다 | 김윤진
• [활동가의 책장] 채식주의자 | 르다
표지디자인 @studio.framewalk
#월간참여사회 #탄핵 #도시수집